
원작자: 0xjeremy
원본 편집: Sissi, Leia
첫 번째 레벨 제목
"머리말"암호화폐 강세장 마지막 라운드에서는 다양한 프로젝트가 꽃처럼 피었고 DeFi Summer, X to Earn 등 새로운 내러티브가 계속해서 등장했습니다.시장 열광의 홍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토큰 가격과 토큰 경제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하지만 종종 프로젝트의 실제 가치와 지속 가능성을 무시하고 쉽게 FOMO 감정에 빠집니다.그러나 시장이 약세를 보이면서 많은 프로젝트의 진정한 가치가 드러났습니다.Terra/Luna, FTX 등과 같이 한때 영광스러웠던 프로젝트는 충돌 후 가치를 잃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성공적이고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의 이유를 진정하고 반성하고 요약해야 합니다."V God: Beyond Token Economics" 기사에서 밝힌 바와 같이,성공적인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에는 토큰 경제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요소가 필요합니다.암호화 시장은 더 이상 단일 토큰 경제 메커니즘의 경쟁이 아니기 때문에,
긍정적 외부효과를 중심으로 '비즈니스&인센티브&거버넌스' 3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인 파워게임으로 진화했다.
많은 프로젝트가 성공의 비결을 탐구하고 있으며 Web3.0 분야의 리더로서 Curve의 성장 경로는 다른 프로젝트에 유용한 경험과 영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다음을 목표로 합니다.1. 커브 프로토콜을 예로 들면,Curve의 진화를 여러 단계로 나누면(아래 표 참조) 개발 궤적과 성공의 길을 보다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참고: "Curve X.0 단계"는 1.0 단계와 같은 Curve의 성장 과정 단계를 말하며 "Curve VX.0"은 Curve V1.0과 같은 프로토콜의 기능 버전을 나타냅니다.)2. Curve의 개발 이면에 있는 중요한 사실과 주요 이니셔티브를 살펴보십시오. 무시되거나 다른 기사에서 언급되지 않을 수 있는 이러한 핵심 사항은 Curve의 지속 가능성 뒤에 있는 초석입니다. 통과하다
Web3.0 프로젝트의 성공에 참조로 사용할 수 있는 법칙과 모델을 요약하고 다른 프로젝트에 유용한 계몽과 참조를 제공합니다.: 이 기사에 포함된 내용 및 관점은 Curve 계약 또는 기타 관련 계약에 대한 홍보 목적이 없습니다. 이 기사는 순전히 토론을 위한 것이며 투자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됩니다.
"곡선 1.0 단계": PMF 실현 및 첫 번째 성장 곡선 시작 2019.11-2020.7
보조 제목
2019년경 암호화폐 시장의 지속적인 발전, 특히 DEFI의 부상으로 스테이블 코인($USDT, $DAI 등 미국 달러 자산과 연계) 및 기타 연계 자산($wBTC, $renBTC)는 계속해서 확장될 것입니다. 거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9년 1분기 240억 달러에서 2019년 3분기 790억 달러로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이 229%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이러한 자산을 중심으로 완전히 새로운 시장 세그먼트가 생성되었습니다.
이미지 설명
이미지 크레디트: 메사리
예를 들어 당시 Uniswap V1에서는 대부분의 유동성 풀에 $ETH가 포함되어 있었고 사용자는 플랫폼에서 한 쌍의 스테이블 코인을 거래하기 위해 두 번의 거래를 하고 거래 수수료를 두 번 지불해야 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의 거래 규모는 큰 경향이 있으며 사람들은 거래 비용에 더 민감합니다. 따라서 게시자는 더 나은 거래 솔루션을 찾아야 합니다.
보조 제목
2. 비즈니스 메커니즘: 원래의 안정적인 통화 AMM은 시장 문제를 해결합니다.
Curve는 상수 합계(x+y=const)와 상수 곱(Uniswap xy=const) 함수 간의 AMM 거래 메커니즘을 사용합니다. 특히 이 메커니즘은 상수 합계와 유사하게 곡선의 평형점 근처에 비교적 평평한 곡선을 만듭니다. 기능, 가격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양 끝을 더 기울어지게 만드는데, 이것은 일정한 제품 기능과 유사하여 곡선의 각 지점에서 유동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합니다. 다음 그림은 메커니즘의 개략도입니다.
이미지 설명
이미지 크레디트: 곡선주류 상수 제품 AMM(예: Uniswap)과 비교하여당시 $DAI에서 $USDC로의 전환을 예로 들면 Uniswap의 슬리피지는 약 0.80%인 반면 Curve를 사용한 슬리피지는 0.06%에 불과했습니다.
보조 제목
3. 프로토콜이 온라인 상태이지만 토큰이 발행되지 않음: 제품 시장 적합성 확인
많은 사람들이 상상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Curve는 온라인에 접속할 때 토큰을 발행하지 않았고 프로토콜 거버넌스도 중앙 집중화되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프로토콜과의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유기적으로 성장했습니다.
Curve는 출시 후 2020년 7월 30일까지 6개월 동안 누적 사용자 수는 8,000명을 넘어섰고 누적 거래량은 15억 달러에 달했으며, 상반기 총 거래량은 DEX 상위 4개에 진입했습니다. . 이 성과는 Product-Market-Fit을 검증하고 Curve의 플랫폼 견인력과 꾸준한 수익 성장을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이미지 출처: dune.com
이미지 크레디트: 곡선
보조 제목
4. Curve 1.0에 대한 의견 및 통찰력: PMF는 Web3.0 프로토콜의 성공을 위한 기본 요소입니다.Token 경제 설계는 Curve의 성공 비결로 선전된 Curve의 veToken 경제 모델과 마찬가지로 한때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Uniswap 및 Curve와 같은 성공적인 프로젝트는 출시 초기 단계에서 토큰을 전혀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토큰 이코노미 디자인에 너무 열중하지 마십시오. PMF는 Web3.0 프로토콜의 성공을 위한 주요 요소입니다.토큰 경제는 프로토콜 설계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실제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고 커뮤니티 구축을 장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PMF 지원이 없는 토큰 이코노미 설계는 완벽하더라도 충분한 시장 수요와 사용자를 끌어들일 수 없으며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Andreessen Horowitz의 전 관리 파트너인 Jesse Walden도 Web3.0 프로토콜을 구축하는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Product-Market Fit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조기에 토큰을 발행하는 것은 유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참고: 이번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과 같이 "작동하려면 토큰이 있어야 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논의하지 않을 것입니다.) 연구에 따르면,조기에 토큰을 발행하면 사용자의 본질적인 동기가 파괴되어 혜택에 집중하고 제품 자체의 가치와 경험을 무시하게 됩니다.
V God이 말했듯이: 토큰 경제의 첫 번째 법칙은 "토큰 경제"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로부터 토큰 경제에 대한 조언을 듣지 마십시오.그렇다면 Product-Market Fit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까요?Web3.0에서 Product-Market Fit을 달성하려면 먼저 시장 기회 또는 문제점을 찾아야 합니다.이는 대상 청중, 선호도 및 요구 사항, 시장의 격차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그런 다음 비즈니스를 고려하십시오.시장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을 구축하는 방법. 제품이 시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의 실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십시오.마지막으로 PMF를 확인하려면:사용자 만족도, 유지율, 수익과 같은 지표에 집중하여 프로토콜이 토큰 경제 인센티브에 의존하기보다 자연스러운 성장을 달성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것은,(참고: 여기서 Product-Market Fit의 "제품"은 Web3.0의 프로토콜을 나타냅니다.)
"곡선 2.0 단계": 탈중앙화 촉진 및 번영하는 생태계 출현 2020.8-2021.12
보조 제목
1. 경제적 탈중앙화를 촉진하고 장기적인 합의를 구축하기 위해 토큰을 도입하고 최초의 veToken 메커니즘을 만듭니다.PMF를 검증하고 자연적인 성장을 실현한 후, Curve는 프로토콜 개발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2020년 8월 토큰 $CRV를 출시하고 최초의 veToken 메커니즘을 도입했습니다. "veToken"의 전체 이름은 "투표 에스크로 토큰"("투표 에스크로 토큰")이며, 이는 사용자가 "투표 잠금 계약"("투표 잠금 계약")이라는 계약에서 프로토콜 토큰을 잠글 수 있도록 하는 투표 거버넌스 메커니즘입니다. 합의의 거버넌스 의결권인 일정량의 veToken을 얻기 위해.
veToken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토큰을 장기간 보유하도록 장려하고 참여자 간의 인센티브 조정을 촉진하여 토큰의 공급과 수요를 개선하고 프로토콜에 대한 지속 가능한 거버넌스 기반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토큰 발행 및 분배: 지속적인 인센티브 균형, 경제적 탈중앙화 촉진
$CRV의 최대 공급량은 30억 3천만 개입니다. 초기 공급량 13억개(전체 발행량의 43%)의 분배 방식은 초기 유동성 공급자 5%, 팀 및 투자자 30%, 직원 3%, 커뮤니티 예비금 5%입니다. 나머지 57%는 향후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인센티브로 점진적으로 해제되며 발행 한도에 도달할 때까지 선형 잠금 해제 시간 제한이 없습니다. 토큰의 출시 주기가 길어져 2026년까지 총 공급량의 약 75%만 출시될 예정입니다.토큰의 발행 및 분배로 판단하면 초기 기여자뿐만 아니라 미래 참여자를 위한 공간도 남겨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프로토콜 개발을 촉진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큰은 더 높은 수준의 탈 중앙화를 가지며 소수의 사람들의 손에 집중되지 않고 경제적 권리의 과도한 집중을 피하여 경제의 분산을 촉진합니다.
거래 플랫폼이 충분한 유동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Curve 프로토콜은 $CRV 공급의 총 62%를 유동성 공급자에게 보상으로 할당합니다(참고: Curve에서 유동성 공급자는 거래 수수료 50%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센티브 전략은 유동성을 증가시켜 거래 슬리피지를 줄이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참여자를 유치하고 거래량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토콜을 위한 토큰의 가치 포착: "장기적인 합의"를 구축하고 거버넌스의 탈중앙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합니다.Curve 프로토콜에 도입된 veToken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거버넌스 투표권을 나타내는 $veCRV와 교환하여 일정 기간 동안 Curve DAO에 일정량의 $CRV 토큰을 잠글 것을 요구합니다.Curve 플랫폼에서 생성된 거래 수수료는 $veCRV 보유자에게 비례하여 분배됩니다(자세한 내용은 "다음 5가지 혜택"의 3번째 하위 항목 참조). 이는 계약의 성공과 함께 토큰의 가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미지 설명
이미지 크레디트: 커브
$veCRV 토큰 보유자는 다음과 같은 5가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1) $CRV 보상 분배에 대한 거버넌스 의결권: $veCRV 보유자는 Curve의 다양한 유동성 풀 간 보상 분배의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정기적인 투표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각 유동성 풀의 $CRV 배출 보상 수에 영향을 미칩니다. . 이것이 권리의 핵심이기도 하다.
(2) 기타 거버넌스 의결권: Curve DAO의 거버넌스에 참여하면 새로운 유동성 풀, 프로토콜 매개변수 설정 및 수정 등과 관련된 제안을 제출하고 제안에 투표할 수 있습니다.
(3) 플랫폼의 거래 수수료 획득: $veCRV 금액에 따라 계약 거래 수수료의 몫을 획득할 수 있으며, 공유 비율은 총 거래 수수료의 50%입니다. 해당 주식은 3개의 CRV 토큰(3개의 CRV는 스테이블 환전 풀 3 POOL(이하 "LP")의 유동성 풀 토큰)을 통해 발행되며, 이는 다른 스테이블 통화와 1:1로 교환이 가능하며, 그 중 3개 POOL은 $DAI, $USDC 및 $USDT 세 개의 스테이블코인으로 구성됩니다.
(4) 유동성 공급자의 시장 조성 수입 증가: 유동성 공급자는 $CRV를 잠근 후 Curve 풀에 LP를 스테이킹하여 얻는 $CRV 보상을 늘릴 수 있습니다(최대 2.5배). 수익률을 높이는 데 필요한 $CRV의 양은 공급자가 속한 Curve 풀과 LP의 양에 따라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조하십시오.
(5) $CRV가 더 오래 잠길수록 $veCRV의 금액과 해당 권리 및 이익이 커집니다. 구체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ii. 잠긴 $CRV가 점차 만료 시간에 가까워짐에 따라 $veCRV의 해당 금액은 선형으로 감소합니다. 예를 들어, 4년 동안 1 $CRV를 잠근 후 사용자가 소유한 초기 1 $veCRV 토큰은 1년 후에 0.75로 감소합니다.
이미지 설명
이미지 크레디트: 커브
iii.잠금을 통해 $veCRV를 획득하는 과정은 되돌릴 수 없으며, 이는 사용자가 $CRV를 장기간 보유할 것을 약속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동시에 $veCRV는 양도할 수 없습니다. 즉, 사용자가 보유한 $veCRV는 잠금 기간 동안 다른 주소로 양도할 수 없습니다.veToken 메커니즘은 프로토콜의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토큰 보유자가 토큰을 장기간 보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유자 간의 "합의"를 확립합니다.토큰 보유자 간의 동등한 권리와 참여를 기반으로 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프로토콜 토큰 $CRV의 발행과 선구적인 veToken 메커니즘은 프로토콜 TVL 및 거래량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CRV 토큰이 출시된 후 반년 동안인 2020년 8월부터 2021년 2월까지 프로토콜의 TVL은 $136.96M에서 $3.8B로 증가했으며 누적 거래량은 $12.15B에서 $129.46B로 증가했습니다. 유동성 공급자에 대한 높은 인센티브로 인해 $CRV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토큰 보유자의 권리와 이익이 희석될 수 있지만 Curve의 비즈니스 규모의 급격한 증가는 $CRV 고정 포지션의 꾸준한 성장을 촉진하여 순환 공급을 증가시킵니다. $CRV의 가격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미지 출처: dune.com
이미지 출처: dune.com
보조 제목
2. 경제 분권화는 번영하는 생태계를 낳고 거버넌스는 보다 분권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Curve TVL 및 거래량의 지속적인 성장과 veCRV 보유자에게 veToken 메커니즘이 제공하는 여러 가지 이점은이해관계자들은 $veCRV, 특히 $CRV 보상의 분배를 향유하는 거버넌스 의결권을 보유하면 더 많은 유동성과 수입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각자의 프로젝트 성공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점차 깨달았습니다.
따라서 $CRV/$veCRV는 모든 당사자 간의 경쟁의 초점이 되었고 이후 Curve 거버넌스 권한을 위한 전투가 시작되었습니다.이러한 프로젝트는 거버넌스 투표권의 실제 혜택을 증가시켜 거버넌스의 분산화를 촉진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거버넌스와 투표에 참여하도록 장려합니다. 이 기사는 Curve 2.0 단계에서 발생한 주요 이벤트 및 대표적인 프로젝트에 중점을 둘 것입니다. Curve 생태계에는 다른 많은 프로젝트도 포함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자세히 소개하지 않습니다. 생태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2022년 11월 Mr. Block이 제작한 Curve 생태지도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설명
이미지 크레디트: twitter@MRBLOCK
|Year와 Convex, Curve 거버넌스 의결권 전쟁 시작
Curve는 안정적인 수익성, 높은 자본 용량 및 우수한 보안으로 인해 Yearn 및 Harvest Finance와 같은 총 수익률의 주요 수입원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애그리게이터는 사용자가 자산 수익률을 관리하고 높이는 데 도움을 주며, 사용자의 암호화된 자산을 Curve에 집중시킴으로써 규모를 활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veCRV가 충분하면 Curve 거버넌스 보팅 파워를 제어하여 보상 분배 및 수익을 개선합니다. 사용자에게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더 높은 수익을 제공하기 위해 애그리게이터는 Curve 거버넌스 의결권 경쟁을 시작했습니다.
(1) Yearn은 수입을 늘리기 위해 많은 양의 $CRV를 축적하므로 Curve 프로토콜의 거버넌스에 위협이 됩니다.
$CRV 초기에 Yearn은 많은 양의 $CRV 토큰을 축적하여 수익률을 높이고 Curve의 의사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전략을 채택했습니다. 여기에는 Backscratcher 스마트 풀 도입, 유동성 공급자와 $CRV 보유자의 자산 통합,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Curve에 예치금을 집중화하고 Sushiswap에서 $yveCRV/$ETH 유동성 풀을 출시하여 $CRV 보유자가 혜택을 누리는 동안 $veCRV, $veCRV 잠금의 제한을 피하고 SushiSwap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yveCRV/$ETH 풀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yveCRV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토큰 발행 초기에는 유통되는 토큰의 수가 적고 분배가 충분히 분산되지 않았을 때 Yearn이 많은 양의 $CRV를 보유하여 중앙 집중식 거버넌스로 이어지고 Curve 프로토콜의 개발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CRV/$veCRV를 축적하는 과정에서 Convex의 등장으로 Yearn의 지배력이 무너졌습니다. Curve 기반 수익률 집계자로서 Convex는 Curve 유동성 공급자와 $CRV 보유자의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출시 초기에 Convex가 축적한 $CRV의 양은 다른 경쟁사를 빠르게 능가했습니다. Curve 팀의 지원을 받고 커뮤니티의 신뢰를 받을 뿐만 아니라 Curve 유동성 공급자와 $CRV 스테이커의 수익을 더 낮은 비용으로 증가시킵니다. 주요 이점은 프로토콜 토큰 $CVX에 있으며, 이는 커뮤니티에 유익한 고유한 토큰 인센티브 메커니즘과 분배를 가지고 있습니다. 발행된 $CVX의 양은 Convex on Curve에서 얻은 $CRV의 양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총 공급량은 1억 개로 제한됩니다. 10%는 Convex 팀에 할당되고 3.3%는 투자자에게 할당되며 나머지 86.7%는 커뮤니티 보상에 사용됩니다. 거버넌스 메커니즘 측면에서 Convex는 veToken 투표 메커니즘을 채택합니다. $CVX 보유자는 거버넌스 투표권인 $vlCVX를 얻기 위해 일정 기간(최소 16주) 동안 토큰을 잠가야 합니다. Convex 프로토콜은 많은 수의 $veCRV 토큰을 보유하고 있으며 Curve 거버넌스 화이트리스트에 진입했기 때문에 Curve 투표 프로세스에 참여하고 $vlCVX 보유자에게 거버넌스 투표권을 넘길 수 있습니다.
이미지 크레디트: 볼록
이미지 설명
이미지 크레디트: 볼록$CVX 토큰 메커니즘은 보유자에게 더 많은 인센티브와 프로토콜 거버넌스 권한을 제공하여 다수의 Curve 유동성 공급자 및 $CRV 보유자뿐만 아니라 Yearn, Stakedao 및 기타 프로토콜과 같은 경쟁사를 유치하여 Convex에 자산을 투자합니다. 2022년 1월 현재 Convex는 $veCRV의 거의 절반을 획득했으며 $CRV 보상의 분배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Convex는 많은 양의 $CRV를 보유하고 있어 Curve의 거버넌스의 중앙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사실 Convex는 토큰 경제 모델을 채택하여 경제적으로나 거버넌스 측면에서 Convex의 탈중앙화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말할 수 있습니다,Convex의 의결권 제어는 실제로 Curve 프로토콜의 전반적인 이익을 보장하는 기반에서 Curve 거버넌스의 분산화를 촉진하는 또 다른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Convex, Yearn 등은 거버넌스 권한을 놓고 경쟁하여 Curve에 더 많은 유동성을 모으는 거대한 관심 블랙홀을 형성합니다.
결국 Convex는 Curve의 거버넌스 의결권을 성공적으로 제어하고 Curve 주변의 유동성 생태계 형성을 촉진했습니다.
Frax 및 Lido와 같은 많은 스테이블코인 및 기타 연결된 자산의 발행자는 발행된 자산의 거래 및 교환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 많은 양의 유동성이 필요합니다. 2021년경 Uniswap과 같은 다른 중앙화 거래소 CEX 및 분산화 거래소 DEX와 비교할 때, Curve의 장점은 낮은 슬리피지, 낮은 수수료의 거래 경험을 제공하고 $CRV를 보상하여 "구매"할 수 있는 많은 양의 유동성은 물론, 낮은 진입 장벽, 무허가, 구성 가능성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그러므로,스테이블 코인과 같은 페깅된 자산의 발행자는 더 많은 유동성과 참가자를 확보하기 위해 Curve 프로토콜에 자체 교환 풀을 만들기로 선택했습니다. 이로 인해 Curve 의결권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우선, Curve의 핵심 유동성 풀에 상당한 수의 의결권이 있어야 하며, 커뮤니티 투표를 통해 지지를 얻습니다. $CRV의 총 유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 임계값은 계속 증가할 것입니다. 풀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면 발행인은 더 나은 유동성 깊이를 위해 노력하기 위해 더 많은 의결권을 획득해야 합니다.
스테이블 코인과 같은 자산 연계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등장하면서 Curve의 생태계에서 유동성을 위한 싸움이 시작되었고 이는 Curve의 거버넌스 의결권에 대한 많은 수요를 창출했습니다.
|뇌물 플랫폼은 개인 투자자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고 거버넌스의 분산을 촉진합니다.
$CRV 출시 이후 Curve 투표권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 및 수익 집계자와 같은 다양한 프로젝트의 성공에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의결권을 보유한 다수의 소매 투자자는 투표를 통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투표에 참여할 동기가 부족한 반면, 프로젝트 당사자는 $CRV의 보상 분배에 영향을 미칠 충분한 의결권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시장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 8월 CRV 의결권 기반 뇌물수수 플랫폼인 보티움(Votium)과 Bribe.crv.finance가 속속 등장했다.이것들이 플랫폼을 통해 프로젝트는 CRV 의결권을 보유한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의결권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보유자는 실질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고 합의 거버넌스 투표 참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소수의 대규모 보유자들만이 합의의 방향과 보상 분배를 결정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거버넌스의 탈중앙화에도 기여합니다.
또한 $CRV/$veCRV의 거버넌스 유틸리티를 강화하고 토큰 수요를 촉진합니다. 반면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당사자들은 더 낮은 비용으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Curve 생태계를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지만 이는 프로젝트 당사자들 간의 경쟁을 심화시키기도 합니다.
주요 뇌물 수수 플랫폼의 출현으로 프로젝트 당사자는 유동성을 얻을 수 있는 더 많은 방법을 제공하여 유동성 전쟁을 더욱 격화시켰습니다.
|Redacted는 투표 수익을 더욱 높이고 거버넌스의 탈중앙화를 극대화합니다.
뇌물 수수 플랫폼의 출현으로 Curve 거버넌스에 대한 참여가 증가했지만, 악의적인 투표 및 위법 행위로 이어질 수 있는 불공정성과 불투명성 문제도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토콜 거버넌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 방법을 채택할 때 장단점을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Redacted는 2021년 12월 Olympus DAO의 포크 프로토콜로 등장하여 Curve 생태계에 거버넌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Redacted는 프로토콜 $BTRFLY 토큰을 발행하는 인센티브 방식을 통해 많은 참가자를 유치했으며 다수의 Curve 투표권을 획득했습니다. 프로토콜에 의해 출시된 첫 번째 제품은 "Hidden Hand"라는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보유한 의결권을 Hidden Hand에 위임하고, Hidden Hand는 이러한 의결권을 필요로 하는 외부 계약에 판매하고 이러한 외부 계약의 의결권을 판매합니다. 뇌물 보상은 사용자, 프로토콜 자금 및 $BTRFLY 스테이커에게 재분배됩니다. 모든 투표 프로세스와 수익 극대화는 Hidden Hand에서 처리합니다. Redacted는 또한 다른 생태 거버넌스 권한 관리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지속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고 토큰 경제를 업그레이드했습니다.전통적인 "뇌물 플랫폼"과 비교하여,대신 특정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독자는 탈중앙화 거버넌스의 실행과 적용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분산형 거버넌스를 분석하고 평가할 때 일반적으로 거버넌스 프로세스 및 메커니즘, 분산화 정도, 커뮤니티 참여 및 거버넌스 효율성, 거버넌스 투명성 및 보안, 혁신 및 지속 가능성의 5가지 차원에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보조 제목
3. 곡선 2.0 단계에 대한 의견 및 통찰력: 경제와 거버넌스의 탈중앙화는 풍요로운 생태계의 출현을 도울 것입니다.2021년 3월부터 Curve의 월간 거래량은 6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부분적으로 당시 암호화폐 산업의 상승세와 암호화폐 자산의 시가총액이 반복적으로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입니다. Curve 프로토콜 개발의 중요한 순간인 Curve 2.0 단계는
Web3.0의 맥락에서 경제와 거버넌스의 탈중앙화가 어떻게 생태적 자기 조직화와 성장을 촉진하고 곡선 네트워크 효과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지.Curve 프로토콜은 $CRV 및 veToken 메커니즘을 영리하게 통합하여 토큰 보유자, 유동성 공급자 및 프로토콜 개발자와 같은 다중 이해 관계자를 밀접하게 연결하여 보다 조화로운 혜택 분배를 달성하고 경제적 분산 속도를 촉진합니다. 장기적인 "합의"를 수립함으로써 토큰을 장기간 보유하고 있는 참여자만이 거버넌스 의결권을 가지게 되어 거버넌스의 탈중앙화를 돕습니다.
이 분산된 접근 방식은 많은 이해 관계자가 Curve 생태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합리적으로 협력하고 협력하여 생태계 구축에 강력한 추진력을 부여하도록 장려했습니다. Curve 생태계의 활발한 발전 덕분에 유동성과 시장 거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 두 요소는 서로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긍정적인 피드백 루프를 형성합니다. 이 주기는 전체 생태계의 효율성과 규모 성장을 더욱 촉진하고 네트워크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Web3.0 시대에 프로토콜에 대한 생태계의 중요성은 자명하며 프로토콜에 많은 가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첫째, 번창하는 생태계는 더 많은 사용자와 유동성을 끌어들여 시장 점유율과 프로토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둘째, 에코시스템의 발전은 더 많은 기능과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제공하여 참가자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충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혁신과 개발을 위한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 프로토콜의 성장 여지를 더 많이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생태계가 가져오는 네트워크 효과는 계약의 경쟁 우위를 더욱 강화할 것입니다.
경제와 거버넌스의 분권화는 생태계의 풍요로움을 촉진하고 의정서의 가치를 높이는 기초이자 핵심 수단으로 간주됩니다.생태 참여자를 유치하기 위해 기술, 경제 및 거버넌스의 분산 설계에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지속적인 가치 창출 없이는 생태계가 오랫동안 지속 가능하지 않을 것입니다.
첫 번째 레벨 제목
토큰 및 veToken 메커니즘을 도입함으로써 Curve는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효과 실현을 촉진하고 단계별 성공을 달성했습니다. 그러나 프로토콜의 지속적인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Curve는 여전히 많은 도전과 의심에 직면해 있습니다.
1. 치열한 DeFi 경쟁: Curve는 동종 및 비동종 경쟁자의 도전에 직면
텍스트DEFI 분야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고 Curve의 비즈니스 수익 성장은 도전에 직면했으며 비즈니스 수익 감소의 큰 위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2021년 5월 Uniswap은 중앙 집중식 유동성 알고리즘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스테이블코인 시장 조성자의 자본 활용 효율성을 개선하고 거래자의 거래 수수료 및 미끄러짐을 줄여 Curve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하는 프로토콜의 V3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 거래 시장. 아래 그림의 Curve와 Uniswap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비교에 따르면 Uniswap V3 출시 이후 Curve에 비해 Uniswap의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시장점유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설명
이미지 출처: dune.com그리고 부터예를 들어, 대출 프로토콜 Aave는 고유한 자체 스테이블 코인을 출시할 계획이며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인 Frax는 자체 거래 및 대출 플랫폼을 출시하여 더 많은 사용자의 자본 유입을 유치하기 위해 DEFI의 풀 스택 비즈니스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아래의 TVL 추세 그래프를 보면 Curve가 한때 상당한 이점이 있었지만 지금은 Aave가 추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Curve와 Frax의 격차도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defillama.com
보조 제목
2. Curve 토큰 경제의 지속 가능성 과제: 한계 이익 감소 및 거품 위험Curve의 토큰 경제학은 실제로 Curve에 많은 유동성을 가져왔으며, 따라서 생태계의 번영과 발전과 거래량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그러나이 모델이 지속 가능한지 여부는 논의되었습니다. 데이터는 인센티브를 통한 유동성 증가에도 불구하고 Curve의 자본 사용 효율성(거래량/총 잠긴 가치)이 낮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유동성이 특정 임계점에 도달하면 계약의 거래량 및 사업 수입에 대한 촉진 효과가 크게 약화되기 시작합니다. 즉 "한계 이익 감소"입니다.이것은 나타냅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거래량을 영원히 증가시킬 수 없으며, 우리는 한계 이익의 감소에 주목해야 합니다.더 중요한 것은 유동성이 임계점에 도달한 후에구체적으로, 1) 일부 참여자들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높은 유동성으로 인해 토큰 가격의 과대평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계약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입니다. 그러나 높은 인플레이션은 거래량의 동시 증가를 가져오지 않아 거품이 발생했습니다. 2) 프로토콜의 미래 가치를 소비합니다. 토큰의 공급이 실제 수요를 너무 빨리 초과하면 토큰 가격 거품이 터져 토큰의 가치가 떨어지고 계약의 미래 가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3) 높은 인플레이션은 프로토콜에 대한 후발주자의 진입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며 동일한 보상을 얻기 위해 더 많은 토큰을 구입해야 합니다. 이것은 후발자가 생태 건설에 참여할 기회를 잃고 생태의 발전 잠재력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그러므로,경쟁 압력, 거품 및 폰지 의심에 직면하여 Curve는 거래량과 가치 창출의 중요성을 깨닫고 두 번째 성장 곡선을 열었을 수 있습니다. 그것이 탐구하는 새로운 사업 방향은 1) "변동성 자산" 거래 사업의 확장, 2) 프로토콜 자체의 안정적인 통화 출시를 포함합니다.
보조 제목
끊임없이 진화하는 DeFi 세계에서 혁신과 적응은 경쟁력 유지의 핵심입니다. 2021년 5월에 Uniswap V3가 출시되면서 Curve는 같은 해 6월에 프로토콜의 V2 버전도 출시했습니다. Curve는 기술 혁신을 통해 "변동성 자산"의 거래를 지원할 수 있도록 마켓 메이커 모델을 업그레이드했습니다. 이번 움직임은 Curve가 스테이블 코인 및 기타 페깅된 자산을 넘어 거래 시장에 진출하여 비즈니스 영역을 더욱 풍부하게 함을 의미합니다. Curve V2의 곡선(주황색 선)은 곱 상수 곡선(파선)과 Curve V1 곡선(파란 선) 사이에 위치하며 곡선의 끝은 점차 상수 곱 곡선으로 수렴합니다. 이러한 개선으로 인해 V2는 V1 곡선의 부드러운 영역에서 낮은 슬리피지와 높은 유동성의 이점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꼬리 부분의 유동성 부족과 가격 변화에 대한 느린 반응의 문제를 극복합니다. 또한 V2는 내부 오라클 머신 EMA 메커니즘을 만들어 외부 위험을 방지하고 유동성 집계를 개선하며 보상되지 않은 손실을 줄입니다.동시에 V2 곡선의 동적 속성은 Curve의 자본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켰습니다.
이미지 설명
Uniswap V3는 출시 후 일부 스테이블 코인 거래량을 확보했지만 Curve V2도 사용자 기반을 확장하기 위해 변동성 자산의 거래량을 유치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이더리움에서 tricrypto 2($USDT/$WBTC/$ETH)는 현재 Curve V2의 가장 큰 유동성 풀이며 최근 일일 거래량은 660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시장에서 다양한 탈중앙화 거래소의 거래량 비중으로 볼 때 Uniswap V3와 Curve V2 출시 이후 이들 간의 격차는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아래 차트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더 블록
보조 제목
4. Curve는 스테이블 코인 제공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수익원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2년 5월 Terra/Luna의 스테이블 코인 $UST가 갑자기 폭락하면서 시장 충격을 일으켰고 많은 유사한 자산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 가운데 커브의 안정적인 통화 거래 사업도 영향을 받았다. 이에 커브는 같은 해 6월 커브의 과잉담보 스테이블코인 출시 계획을 처음 공개했고, 11월에는 관련 백서를 발표했다. 이 이니셔티브의 목표는 Curve 프로토콜을 위한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더 많은 유동성을 유치하며 $CRV의 가격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Curve는 백서에서 혁신적인 Lending-Liquidating AMM 알고리즘(줄여서 "LLAMMA")과 PegKeeper를 제안했습니다. LLAMMA는 Curve가 만든 새로운 청산 메커니즘으로, AMM 알고리즘을 통해 지속적인 청산 및 청산 해제를 실현하여 악성 부채 및 사용자 손실의 위험을 줄입니다. PegKeeper는 프로토콜 안정 통화의 앵커 값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이전에도 $CRV의 가격이 급락했지만 백서의 공개로 시장은 Curve의 향후 신규 사업 확장에 대한 자신감과 기대로 가득 찼습니다. 현재 Curve는 공식적으로 안정적인 통화를 발행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성능은 출시 후 시장 반응을 관찰해야 합니다.
보조 제목
5. Curve 3.0 단계에 대한 의견 및 통찰력: 지속적인 가치 창출은 Web3.0 프로토콜의 핵심 목표입니다.Web3.0 분야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로 외부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DEX 분야는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네트워크 효과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Web3.0은 독점 기능에서 Web2.0과 다릅니다.
Web3.0은 분산화, 개방성 및 상호 운용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토큰 인센티브, 커뮤니티 드라이브 및 혁신 기술을 촉진하여 사용자가 다른 프로토콜과 Dapp 간에 빠르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잔인한 경쟁을 초래합니다.이런 치열한 경쟁 속에서Web3.0 프로토콜의 핵심 목표는 단순히 토큰 가격 상승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어야 합니다.그래야만 계약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보장될 수 있습니다. 계약은 근시안적인 행동으로 인해 계약이 손상되지 않도록 신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채택해야 합니다. 또한,
a16z crypto의 CTO Eddy Lazzarin이 지적했듯이 토큰 설계는 매우 초기 분야인 프로토콜 설계라고 해야 합니다. "토큰 설계"는 "프로토콜 설계"의 일부일 뿐이기 때문에 프로토콜이 가치를 창출하는 보조 수단 중 하나입니다.진짜 가치는 "프로토콜 설계"에서 비롯되며 비즈니스 구성 논리, 토큰 인센티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메커니즘, 커뮤니티 거버넌스 방식 등Curve를 예로 들어 프로토콜은 지속적인 혁신 과정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하기를 희망하면서 제품 반복, 토큰 설계 및 생태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과도한 인센티브로 인한 버블을 방지하고, '폰지'에게 의문을 제기하게 하여 합의의 안정적인 발전에 영향을 미칠 필요가 있다.
인센티브 메커니즘이 적절하게 설계되고 사용되는 경우에만 비즈니스 성장을 실제로 촉진할 수 있습니다.설계는 프로토콜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토큰 역학 및 토큰 엔지니어링 관점에 따라 안내되어야 합니다. 동시에 설계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해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 기술을 사용하여 프로토콜 설계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최적화하고 프로토콜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레벨 제목
"드디어"
이 글은 주로 Curve 프로토콜의 진화 과정을 한데 모아 분석하여 Web3.0 프로토콜의 성공에 적용할 수 있는 법칙과 경험을 정리한 것입니다.Web3.0 프로토콜의 핵심 목표는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토콜은 초기 단계에서 PMF를 구현해야 합니다.PMF의 실현만이 더 많은 참가자를 유치하고 프로토콜의 빠른 개발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토큰 이코노미 설계는 합리적이어야 하며, 토큰을 사용하여 초기 자본을 조달하고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프로젝트 당사자는 토큰 이코노미가 프로토콜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개발을 위한 강력한 지원을 제공하고 성공으로 가는 길에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게다가,게다가,Web3.0 생태계에서 중앙화된 팀에서 분산된 커뮤니티로의 전환은 핵심 링크입니다.이 과정에서 프로토콜은 다음을 요구합니다.우선, 프로토콜 자체의 기술이 분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중앙 집중식 노드 또는 기관의 출현을 피하십시오. 동시에 토큰 발행의 분배도 과도한 집중을 피해야 합니다.경제적 분권화를 달성하기 위해.최대한 위임분산형 거버넌스
, 커뮤니티가 프로토콜의 거버넌스 프로세스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Web3.0 분야에서 암호화폐 시장은 격렬하게 변동하고 황소와 곰이 빠르게 번갈아 나타납니다. 동시에 Web3.0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사용자는 손실을 입기 쉽고 시장 경쟁은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협약은 일회성 성공이 아닌 지속가능한 성공을 추구해야 한다.
Web3.0 프로토콜의 경우 지속 가능한 성공은 지속적인 탐색이 필요한 완전히 새로운 제안입니다.
예를 들어, 지속 가능한 성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프로젝트 거버넌스는 완전한 탈중앙화를 선택해야 합니까, 아니면 탈중앙화를 기반으로 핵심 팀의 역할과 영향력을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까? 그리고 탈중앙 거버넌스의 완성도를 추구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필요한가? 이러한 문제는 더 자세히 조사해야 합니다.합의가 직면한 높은 수준의 대내외적 "불확실성"을 다룰 때 우리는 어떻게 도전을 극복할 수 있습니까?불확실성을 제거할 수는 없지만 도구를 사용하여 프로토콜을 반복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현재 시장에 아무도 없습니다작동하기 쉽고 시각화하기에 직관적이며 동시에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확장성과 유연성을 갖춘 도구는 프로토콜 설계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cadCAD는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고 확장 가능하지만 사용하기 쉽고 직관적이지 않습니다. 기계는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이 아니므로 복잡한 상황을 처리할 수 없습니다. 새로운 기업가 프로젝트 HoloBit은 프로토콜의 설계 및 최적화를 목표로 하는 최초의 코드 없는 시각적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플랫폼으로 두 가지 모두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플랫폼은 아직 공식적으로 출시되지 않았으며 기대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요약하면, Web3.0 프로토콜의 성공의 열쇠는 PMF의 실현, 적절한 인센티브 메커니즘의 확립, 탈중앙화로의 전환 등, 내부 및 외부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에 있습니다. 현재 모든 Web3.0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은 없지만, 이 기사에 요약된 법률과 경험이 Web3.0 프로젝트 구축에 유용한 아이디어와 제안을 제공하고 보다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프로토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원본 링크: https://medium.com/@protocolneering/curves-evolution-insights-into-sustainable-protocol-design-beyond-token-design-2780dfc1cc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