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st 스마트 컨트랙트 개발일지 (1)
BlockSec
2022-03-29 10:25
本文约3914字,阅读全文需要约16分钟
감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BlockSec은 보안 개발의 관점에서 커뮤니티에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기를 희망합니다.

1. EVM or WASM?

Ethereum의 인기로 스마트 계약에 대해 이야기할 때 기본적으로 EVM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계약을 개발하기 위해 Solidity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더리움의 느린 블록 타임과 높은 거래 수수료의 단점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최적화 기술과 새로운 퍼블릭 체인이 출시되었습니다. WASM은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새로운 바이너리 구문인 WASM은 작은 명령어 크기, 빠른 연산 속도, 메모리 안전성과 같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WASM에서 실행되는 스마트 계약은 점유된 블록체인 리소스를 크게 줄이고 블록 생성 속도와 효율성을 크게 향상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실행되어 사용자가 더 나은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WASM은 Rust, C, C++, TypeScript, AssemblyScript 등 다양한 프런트 엔드 개발 언어를 지원합니다. 적응 및 도구 체인, 언어 자체의 보안을 고려할 때 Rust는 매우 좋은 선택 중 하나입니다.

2. BlockSec의 선택

BlockSec의 임무는 전체 Defi 생태계를 보다 안전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감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보안 개발의 관점에서 커뮤니티에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기를 희망합니다. Rust와 WASM의 많은 장점을 기반으로 이 기술 스택에 대한 공유 시리즈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으며 계속 관심을 가져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오늘날 더 인기 있는 퍼블릭 체인 프로젝트 중 일부를 조사했으며 NEAR 퍼블릭 체인도 동일한 기술 스택을 사용합니다. NEAR는 기본적으로 WASM 계약을 지원하고 Rust 언어 및 AssemblyScript를 지원하여 스마트 계약을 개발합니다. 따라서 NEAR 퍼블릭 체인을 기반으로 공유 및 토론을 시작합니다.

3. Rust로 스마트 계약 개발

Rust 언어는 Mozilla에서 개발한 것으로 프로그램이 컴파일된 후 놀라운 속도로 실행되고 메모리 사용률이 매우 높으며 기능 및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지원합니다. 아마도 많은 학생들이 아직 Rust 언어에 비교적 익숙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이 블로그를 시작으로 BlockSec은 여러분과 함께 Rust의 안개를 제거하여 모든 사람이 Rust를 사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전한 스마트 계약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4. 환경 구성

4.1 IDE 사용

새로운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하는 방법을 배울 때 우수한 IDE를 선택해야 합니다. 여기에서 BlockSec은 일상적인 요구 사항을 거의 충족할 수 있는 Rust 플러그인(예: Rust-analyzer)과 함께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조건이 있는 경우 Jetbrains Clion + Rust 플러그인을 사용해 볼 수도 있으며 학생들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4.2 Rust 툴체인 설치

훌륭한 IDE가 있으면 당연히 Rust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Rust는 매우 간단하고 편리한 설치 방법을 제공합니다. Linux 시스템에서 Rust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려면 다음 코드 행만 실행하면 됩니다.

$ curl --proto '=https' --tlsv1.2 -sSf https://sh.rustup.rs | sh

설치가 완료되면 $ rustup --version 을 실행하여 설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rustup은 Rust 툴체인의 관리자 역할을 하며 이러한 툴체인 및 관련 구성 요소를 설치, 제거, 업데이트, 선택 및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그런 다음 다음 명령을 실행하여 WASM(WebAssembly) 대상을 도구 체인에 추가해야 합니다.

$ rustup target add wasm32-unknown-unknown

5. 첫 번째 Rust 계약

마침내 본론에 도달했습니다. 여기에서는 각 스마트 계약 프로젝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Rust를 사용하여 스마트 계약을 작성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숙달하도록 안내합니다. Rust 언어 자체에 관심이 있는 경우 인터넷에 많은 자습서가 있으므로 참조할 수도 있습니다.

5.1 Rust의 패키지 관리자

Rust에 대한 전체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지원으로 다양한 타사 라이브러리가 끝없이 등장합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더 잘 관리하기 위해 Cargo가 등장했습니다. 위의 설치 명령은 동시에 Cargo를 설치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Cargo는 새로운 Rust 프로젝트 생성, Rust 프로젝트가 의존하는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및 컴파일, 전체 프로젝트 빌드와 같은 작업을 통해 개발자를 지원합니다.

5.2 첫 번째 Rust 계약 프로젝트 만들기

개발 환경에 대한 준비가 되면 먼저 Cargo를 사용하여 새 계약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이름을 StatusMessage로 지정합니다.

$ cargo init --lib StatusMessage

프로젝트의 디렉토리 트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StatusMessage/
├── Cargo.toml
└── src
          └── lib.rs

5.3 계약 선언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은 계약 상태 데이터 세트를 유지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src/lib.rs에 작성된 다음 코드는 StatusMessage라는 간단한 계약을 선언합니다.

1  #[near_bindgen]
2  #[derive(BorshDeserialize, BorshSerialize)]
3  pub struct StatusMessage {
4      records: LookupMap,
5 }

다음으로 위의 다섯 줄 코드를 주의 깊게 분석합니다. 1행과 2행은 주석과 유사하게 #으로 시작합니다. 사실 이것은 Rust에서 매크로의 한 형태입니다. 매크로의 정의에 따라 3-5행을 입력으로 받고 출력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줄의 #[nearbindgen]은 실제로 near-sdk-macros-version 패키지의 nearbindgen 함수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매크로는 주입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Macros-Auto-Generated Injected Code, 참조). MAGIC으로 변경).

이해하지 못해도 괜찮습니다. 우리는 라인 1과 2의 기능만 알면 됩니다. 특히 #[nearbindgen] 주석이 달린 구조체는 NEAR에서 스마트 계약이 됩니다. 그리고 다른 구조체는 일반적인 구조체입니다. 그래서 [nearbindgen]은 NEAR에서 개발하여 개발자에게 제공되는 패키지입니다. 2행의 #[derive(BorshDeserialize, BorshSerialize)]는 직렬화 및 역직렬화에 사용되므로 계약의 상태가 체인에서 바이너리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3-5행은 스마트 계약의 상태를 유지하는 StatusMessage라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상태의 내용은 4행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 구조에는 레코드라는 이름의 멤버 변수가 하나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타입은 LookupMap이며, 간단히 딕셔너리 타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키와 값은 모두 일반 문자열 유형입니다.

5.4 계약 기본값 설정

계약을 선언할 때 종종 기본값을 정의해야 합니다. 다음 코드는 계약 StatusMessage의 기본값을 설정합니다.

1  impl Default for StatusMessage {
2      fn default() -> Self {
3          Self {
4              records: LookupMap::new(b"r".to_vec()),
5         }
6     }
7 }

그중 1행은 이것이 StatusMessage의 기본값 구현임을 선언합니다. 2행은 메서드 이름이 default이고 반환 값이 Self임을 선언합니다. Self는 Rust의 현재 모듈 범위를 나타내며 특히 StatusMessage 인스턴스를 나타냅니다. 3-5행은 인스턴스의 정의입니다. 인스턴스에는 레코드만 포함되어 있으므로 LookupMap 유형의 변수입니다. 이진 배열 b를 전달하여"r".tovec(),LookupMap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LookupMap의 새로운 방법은 NEAR 자체에 의해 정의됩니다. b"r".tovec() 이 LookupMap에 저장된 키의 접두사를 나타냅니다.

5.5 계약 방법 정의

구조를 사용하여 계약 상태를 정의한 후에는 노출된 메서드를 외부 트랜잭션을 통해 호출할 수 있도록 일련의 메서드도 정의해야 합니다. 다음은 각각 현재 계약에서 레코드 값을 수정하고 얻을 수 있는 두 가지 정의된 메서드입니다. 계약 방법을 정의할 때 1행과 같이 #[near_bindgen]도 추가해야 합니다.

1  #[near_bindgen]
2  impl StatusMessage {
3      pub fn set_status(&mut self, message: String) {
4          let account_id = env::signer_account_id();
5          self.records.insert(&account_id, &message);
6     }
7
8      pub fn get_status(&self, account_id: String) -> Option   {
9          return self.records.get(&account_id);
10     }
11 }

2행의 impl 키워드는 우리가 StatusMessage를 구체적으로 구현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3-6행은 setstatus 메소드를 정의합니다. 이 함수는 현재 계약의 상태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 중 세 번째는 메소드 이름과 변수를 선언합니다. 이 함수에는 두 개의 변수, 즉 &mut self와 message: String이 있습니다. &mut은 self에 대한 참조를 나타내며 self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메시지: 문자열은 메시지 유형이 문자열임을 나타냅니다. 동시에 이 함수는 키워드 pub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pub fn으로 장식된 함수만 외부 트랜잭션에서 호출할 수 있으며 이는 공개임을 나타냅니다.

4행은 거래 서명을 시작한 사용자 ID를 나타내는 env::signeraccountid()를 통해 얻은 값인 로컬 변수 accountid를 정의합니다.

5행은 accountid를 키로, message를 값으로 레코드에 삽입합니다. 메시지는 사용자가 전달하는 문자열 유형의 변수입니다. 그리고 &message는 메시지에 대한 참조를 의미합니다.

8-10행은 getstatus라는 또 다른 함수를 선언합니다. setstatus와 달리 getstatus는 None 또는 String 유형의 값을 반환합니다. 여기서는 Option을 사용하여 이를 나타냅니다.

이 문제의 요약 및 미리 보기

이 문제의 요약 및 미리 보기

Rust 컨트랙트에 대한 BlockSec의 첫 번째 블로그입니다.이번 호에서는 Rust 컨트랙트의 배경과 NEAR 체인을 기반으로 간단한 컨트랙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다음 호에서는 Rust를 사용하여 계약을 디버깅하기 위해 생성한 계약에 대한 단위 테스트 사례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BlockSec
作者文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