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estia의 OP 스택에 대한 모듈식 데이터 가용성 구문 분석
DeFi之道
2023-06-04 06:30
本文约1910字,阅读全文需要约8分钟
Celestia Labs는 사기 방지 업그레이드를 탐색하고 양자 중력 브리지를 사용하여 이더리움에 교차 체인 DA 증거 릴레이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원저자:Javed Khan,celestia blog

원문 편집: Lu Jue Lin

소개

소개

작년 출시 이후 OP 스택은 롤업 개발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관심을 끌었습니다. 새로운 롤업을 생성하는 개발자와 Caldera 및 Conduit와 같은 모듈식 인프라 제공자가 채택하여 개발자가 자신의 롤업을 신속하게 가동할 수 있습니다.

작년 발표에서 언급했듯이 모듈성은 OP 스택 비전의 근본적인 측면입니다.

OP 스택의 각 계층은 잘 정의된 API로 설명되며 해당 계층의 모듈로 채워집니다. [...] Ethereum을 데이터 가용성 계층으로 Celestia로 바꾸고 싶습니까? 틀림없이! Bitcoin을 실행 계층으로 실행하고 싶습니까? 왜 안 돼!

Optimism의 빠르게 접근하는 Bedrock 업그레이드는 OP 스택의 실행 계층 및 증명 시스템을 모듈화하여 향후 사기 및 유효성 증명과의 호환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에 영감을 받아 Celestia Labs는 OP 스택의 모듈성을 더욱 강화하는 데 주력해 왔습니다. 그래서 오늘 우리는 개발자 피드백에 초점을 맞춘 OP Labs의 첫 번째 OP Stack Mod인 OP Stack의 모듈식 데이터 가용성(DA) 인터페이스의 베타 릴리스를 발표하게 되어 기쁩니다.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발자는 DA 레이어를 정의하고 Ethereum, Celestia 또는 Bitcoin 등 원하는 모든 블록체인에서 보안을 상속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DA에 Celestia를 사용하고 Ethereum에 "정착"하는 OP 스택 버전으로 오늘부터 실험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Caldera는 개발자와 사용자가 Modular DA를 사용하여 OP Stack의 첫 공개 테스트넷을 시험해 볼 수 있는 Taro 테스트넷을 곧 출시할 예정입니다.

데이터 가용성 계층은 롤업 아키텍처의 기초이며 롤업 체인을 독립적으로 검증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의 가용성을 보장합니다. 아래에서는 OP 스택에서 데이터 가용성의 기본 사항과 잘 정의된 D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L1에서 데이터를 게시하고 검색하기 위해 이를 모듈화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OP 스택의 데이터 가용성: 현재

OP 스택은 오늘날의 데이터 가용성을 어떻게 처리합니까? 우리의 목적을 위해 아래에 설명된 대로 롤업 노드와 Batcher라는 두 가지 기본 구성 요소를 조사했습니다.OP 스택의 나머지 부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더 폭넓게 이해하려면 다음을 확인하세요.

낙천주의 문서

롤업 노드

롤업 노드는 L1 블록(및 관련 영수증)에서 올바른 L2 체인을 분기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입니다. 롤업 노드는 L1 블록을 검색하고 데이터 트랜잭션(일반적으로 트랜잭션 호출 데이터 형식)을 필터링하고 해당 데이터에서 올바른 L2 체인을 파생합니다.

Batcher - 배치 제출자

배치 프로세서라고도 하는 배치 제출자는 유효성 검사기가 사용할 수 있도록 L2 분류기 데이터를 L1에 제출하는 엔터티입니다. 롤업 노드와 배처 모두 루프에서 작동하여 배처가 새로 제출한 L2 블록 데이터를 롤업 노드가 L1에서 검색하고 다음 L2 블록을 파생시키는 데 사용합니다.

배치 프로그램에 의해 제출된 각 트랜잭션에는 L2 시퀀서 데이터인 calldata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프레임이라는 바이트로 분할된 L2 시퀀서 데이터이며 Optimism에서 데이터에 대한 가장 낮은 수준의 추상화입니다.

OP 스택용 모듈식 DA 인터페이스

OP 스택을 위한 모듈식 DA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때 우리의 목표는 간단했습니다. 롤업 개발자가 Ethereum, Celestia 또는 Bitcoin 등 모든 블록체인을 데이터 가용성 계층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가 없으면 새로운 DA 계층을 통합할 때마다 개발자가 별도의 OP 스택 분기를 구현하고 유지 관리해야 할 수 있습니다.

OP 스택은 이미 L1 체인 및 L2C 체인을 지정하는 코드베이스에 추상화를 포함하고 있어 DAChain이라고 하는 데이터 가용성 체인을 위한 새로운 블록체인 독립적 인터페이스를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개발자는 DAChain을 구현하여 기본 블록체인 또는 S3와 같은 중앙 집중식 백엔드에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쓰기 단계

인터페이스의 Celestia 구현을 작성하는 다음 예제는 배치 프로그램과의 통합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실제 트랜잭션 생성 및 전송을 담당하는 SimpleTxManager.send 함수는 WriteFrame을 호출하여 프레임을 Celestia에 쓰고 참조를 반환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그런 다음 참조는 일반적인 프레임 데이터 대신 일괄 수신함 주소에 호출 데이터로 제출됩니다.

읽기 단계

다음은 롤업 노드와 통합되는 인터페이스의 Celestia 구현에 대한 개요입니다.

DataFromEVMTransactions는 트랜잭션 목록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반환하는 기능입니다. 실제로 프레임을 가져와서 반환 데이터에 추가하기 위해 배치 받은 편지함 호출 데이터에서 검색된 프레임 참조를 사용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NamespacedData에 대한 호출은 지정된 BlockHeight에서 제출된 모든 blob의 바이트 슬라이스 배열을 반환하므로 관심 있는 TxIndex만 반환합니다.

Celestia를 DA 레이어로 통합

Celestia + OP 스택 통합과 비교한 OP 스택 아키텍처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롤업 노드와 배치 프로그램을 약간만 수정하면 OP 스택에서 DA용 Celestia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L2 체인을 분기하는 데 필요한 모든 데이터는 Ethereum에 게시되는 대신 Celestia에서 로컬 BLOB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지만 작은 고정 크기 프레임 참조는 여전히 배치 프로그램 호출 데이터로 Ethereum에 게시됩니다. 프레임 참조는 celestia-node 라이트 노드를 사용하여 Celestia에서 해당 프레임을 조회하는 데 사용됩니다.

작업을 통합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쓰기 단계

위에서 언급했듯이 배치 프로그램은 L2 시퀀서 데이터를 Ethereum L1의 배치 받은 편지함 계약 주소에 프레임이라는 바이트로 제출합니다.

우리는 프레임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batcher 및 calldata 트랜잭션을 보존하지만 calldata의 프레임을 고정 크기 프레임 참조로 대체합니다. 참조 프레임이란 무엇입니까? Celestia의 일부로 프레임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포함시킨 Celestia 데이터 트랜잭션에 대한 참조입니다.

배치 서비스에 celestia-node 라이트 노드를 임베드하여 이를 수행합니다. 제출 대기 중인 새 배치가 있을 때마다 먼저 라이트 노드를 사용하여 Celestia에 데이터 트랜잭션을 제출한 다음 batchercalldata에서 프레임 참조만 제출합니다.

읽기 단계

읽기 단계에서는 반대로 수행합니다. 즉, 배치 트랜잭션 호출 데이터의 프레임 참조를 사용하여 이를 구문 분석하고 Celestia에서 해당하는 실제 프레임 데이터를 검색합니다. 마찬가지로 트랜잭션을 쿼리하기 위해 롤업 노드에 celestia-node 라이트 노드를 포함합니다.

L2 체인을 포크할 때 롤업 노드는 이제 라이트 노드에서 투명하게 데이터를 읽고 계속해서 새 블록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라이트 노드는 이더리움처럼 전체 체인을 다운로드하는 대신 롤업에서 제출한 데이터만 다운로드합니다.

시야

사기 증명은 Bedrock의 Post-Optimism 로드맵의 핵심 부분이며, Ethereum 메인넷에서 사기 증명을 사용하기 위해 OP Stack x Celestia 통합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DeFi之道
作者文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