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오렌지북이 기사는
(ID: chengpishu) 저자: Dave Kajpust, 번역: orangefans Eric, 승인을 받아 복제함.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은 혁신의 차세대 물결이 될 수 있으며 분산형 웹의 인기에 막대한 가치를 가져올 것입니다. Cosmos 네트워크와 Polkadot 네트워크는 각각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두 가지 주요 프로젝트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네트워크 설계, 보안 모델 및 기술 스택 측면에서 이 두 프로젝트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러나 먼저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이 더 높은 수준에서 의미하는 바를 이해해야 합니다.
첫 번째 레벨 제목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이란 무엇입니까?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은 제3자 기관(예: 거래소)이 개입할 필요 없이 블록체인 프로토콜 자체를 통해서만 ETH를 보내거나 BTC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소원은 간단하지만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Polkadot과 Cosmos는 안전한 상호 작용을 위해 블록체인 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을 보내고 체인 간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레벨 제목
왜 그렇게 중요합니까?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모든 블록체인이 연결되면 더 많은 자본, 더 나은 사용자 경험, 네트워크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더 나은 브레인스토밍으로 이어집니다.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은 블록체인 확장성과 트랜잭션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체인이 100TPS로 제한되면 다른 체인과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번째 동일한 체인(최대 200TPS)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1000 TPS의 트랜잭션 속도를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라이빗 체인, 퍼블릭 체인 및 얼라이언스 체인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합니다. 궁극적으로 블록체인은 SWIFT와 같은 법정화폐 은행 시스템과도 인터페이스할 수 있습니다.
코스모스와 폴카닷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들은 블록체인 상호 운용성 문제를 해결할 때 비슷한 전략을 사용하지만 프로토콜과 디자인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은 보안, 개인 정보 보호, 효율성, 유연성 및 사용 용이성 간의 균형에서 나타납니다.
자, 이제 미래의 인터랙티브 블록체인의 미스터리를 파헤쳐 봅시다!
첫 번째 레벨 제목
코스모스 네트워크
Cosmos 팀은 Tendermint 기반 Cosmos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Tendermint와 Cosmos는 모두 InterChain Foundation과 제휴하고 있습니다. 다음 두 그림은 네트워크 설계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합니다.
기술 설계 및 프로토콜
첫 번째 레벨 제목
Tendermint (합의 및 네트워킹)
Tendermint는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t) 상태 머신입니다.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합의에 도달하려면 알려진 검증자 세트가 필요합니다. 코스모스 네트워크에서는 최소한 2/3의 검증자가 합의에 도달해야 합니다. 유효성 검사기의 1/3 미만이 가해자라고 가정하면 유효성 검사기가 동일한 높이에서 충돌하는 블록을 제출할 수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절대 분기되지 않습니다. 이 전략은 Tendermint에서 보안이 활성보다 우선한다는 원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블록체인 인터페이스(ABCI)
ABCI는 복제 엔진(텐더민트)과 상태 머신(블록체인) 사이의 경계를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ABCI는 블록체인 상태 업데이트를 위한 유일한 채널이며 Tendermint만이 블록체인 상태 변경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디자인은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액세스 채널이 하나뿐이기 때문에 훌륭한 보안 전략입니다.
아래 다이어그램은 P2P 네트워크에서 노드가 연결되는 방식과 각 노드의 구성 요소를 보여주는 Tendermint의 스택 설계를 설명합니다.
코스모스 인터랙티브
인터체인 커뮤니케이션(IBC)
Cosmos 네트워크는 IB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체인 체인 상호 작용 기능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Cosmos 네트워크를 중앙 허브로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체인은 IBC를 통해 통신합니다. 블록체인은 가지 형태로 코스모스 허브에 연결되며, 네트워크의 가지를 아래 그림과 같이 "존"이라고 합니다.
Peg Zones
IBC의 기술 용어는 "체인 릴레이"라고도 합니다. 체인 릴레이를 사용하면 블록체인이 다른 체인의 이벤트를 읽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체인의 스마트 계약이 B 체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고 싶다면 B 체인의 스마트 계약은 A 체인의 블록 헤더를 채택하고 합의 및 최종성에 도달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Cosmos는 처음부터 Chain Relay를 통해 새로운 블록체인을 쉽게 생성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각 체인은 Tendermint에서 실행되며 새 체인이 IBC 프로토콜을 따르는 한 퍼블릭 체인 및 프라이빗 체인을 포함한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Peg Zone은 이더리움 메인넷과 같은 실시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코스모스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게 해줍니다. 라이브 블록체인에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은 블록체인 상호 운용 네트워크의 주요 요구 사항입니다. Peg Zone은 복잡하지만 간단한 용어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
공유 보안 모델이 있어야 하며 Cosmos Peg Zone 유효성 검사기도 이더리움 메인넷 노드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특수 유효성 검사기는 두 체인 간의 상호 작용을 승인합니다. 복잡하고 번거로운 인프라이며 Peg Zone을 운영하는 팀도 신뢰해야 합니다.
실제 자산 거래는 이더리움 메인넷의 스마트 컨트랙트가 해당 ETH를 잠그는 동시에 Peg Zone에서 "Cosmos-Ether"를 나타내는 새로운 토큰을 생성하여 IBC를 통해 Cosmos 네트워크에서 보낼 수 있어야 합니다. Cosmos의 관점에서 검증인은 Atom을 잠그는 동시에 이더리움 메인 네트워크에서 보낼 수 있는 ERC-20 Atom 토큰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Cosmos와 Ethereum 메인넷 간의 자산의 완전한 상호 운용성이 달성됩니다.
두 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해
모든 상호 운용 가능한 네트워크에는 정보를 교환하고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는 최소 두 개의 블록체인이 필요합니다. Ethermint는 Cosmos Hub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Cosmos가 제안한 첫 번째 솔루션입니다.
Ethermint 디자인의 천재성은 팀이 달성하려는 "하드 스푼"에 있습니다. 그들은 어느 시점에서 모든 이더리움 계정의 스냅샷을 찍고 그 상태로 새로운 이더민트 파티션을 생성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이더리움 개발자 네트워크를 부트스트랩하는 동시에 모든 사람에게 새로운 토큰을 발행하고 더 빠른 트랜잭션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Cosmos Hub
기술적으로 구현하기 더 쉽기 때문에 Ethereum 메인넷을 "매핑"하기 위해 Peg Zone 대신 Ethermint를 선택했습니다. 그러나 블록체인의 경우 Peg Zone의 존재가 중요합니다. Cosmos든 Pokaldot이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는 엄청난 추진력이 있기 때문에 무시하는 것은 극도로 위험합니다.
첫 번째 레벨 제목
Cosmos 네트워크에서 Cosmos Hub는 메인 체인이며 다른 모든 블록체인의 중심 연결점 역할을 합니다. Tendermint 기반 다중 자산 지분 증명 블록체인입니다. 코스모스 허브의 메인 토큰은 아톰이며 주로 스테이킹과 체인 거버넌스에 사용됩니다. 코스모스 허브는 100명의 검증인으로 시작하여 매년 증가할 것입니다.
아톰 보유자는 검증인이자 위임인이 될 수 있습니다. 유효성 검사기는 네트워크 보안을 유지하고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해 전체 노드를 설정해야 합니다. 위임자는 검증자의 신뢰와 노드 운영 능력에 대한 판단에 따라 검증자에게 토큰을 맡길 수 있습니다. 유효성 검사기는 Atom 자산을 위임하고 생성된 각 블록에 대해 Atom 보상을 받습니다. 이러한 보상은 위임자에게 도움이 되지만 검증자 노드의 일상적인 운영을 위해 작은 부분이 보류됩니다.
유효성 검사기를 정직하게 유지하기 위해 잘못된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게시하는 악의적인 유효성 검사기는 재정적인 벌금으로 Atom 토큰을 잃습니다. 이 메커니즘을 "슬래싱"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게임 이론 규칙은 모두 지분 증명 블록체인에서 좋은 행동을 장려하기 위한 것입니다.
토큰은 거버넌스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tom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와 같은 네트워크 제안에 대한 투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smos의 거버넌스 프로토콜은 매우 간단합니다. 위임자는 스스로 투표하거나 투표권을 위임한 검증자에게 양도할 수 있습니다. 유효성 검사기는 각 제안에 대해 투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습니다.
메인넷 런칭 현황
Cosmos 팀은 현재 부분 기능으로 테스트넷을 테스트하고 있지만 완전한 기능 버전의 소프트웨어 테스트에 매우 근접했습니다. 팀은 2019년 3분기 어느 시점에 실시간 메인넷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코스모스 팀은 메인넷이 안정적으로 실행될 때까지 트랜잭션을 동결합니다. 메인넷이 활성화되고 안정적으로 실행되면 코스모스 팀은 IBC를 구현하고 이더민트를 위한 이더리움의 "하드 스푼"을 수행할 것입니다. Cosmos 로드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Cosmos SDK
개발은 코스모스를 기반으로 합니다.
개발자는 Cosmos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개발 프로젝트에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IBC 상호 작용을 위한 새로운 블록체인 구축과 Cosmos Zone에서 스마트 계약 생성입니다. Cosmos 팀은 개발자가 Cosmos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블록체인을 쉽게 시작할 수 있도록 Cosmos SDK를 만들었습니다.
Cosmos 팀은 개발자가 간단한 모듈식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Cosmos 네트워크에서 자체 블록체인을 설계할 수 있는 "Cosmos SDK"를 출시했습니다. SDK는 Cosmos Hub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므로 메인넷이 출시되면 개발자가 자체 블록체인을 구축할 수 있도록 SDK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smos Hub는 Cosmos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한 다음 주식 에이전시, 거버넌스 및 IBC에 해당하는 모듈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SDK를 직접 사용하고, 기본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거버넌스 또는 지분 프록시와 같은 모듈을 추가하고, 자체 모듈을 만들고 대화형 블록체인을 게시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이더리움을 강타한 토큰 모델뿐만 아니라 개발자를 위한 완전히 새로운 분산형 플랫폼을 만들 것이기 때문에 흥미로운 기회입니다.
SDK는 Golang 언어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언어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첫해에 네트워크의 블록체인은 Go로 작성되어야 했습니다.
Cosmos에 dApp 구축
Ethermint는 Cosmos 네트워크에서 dApp을 구축하기 위한 첫 번째 도구가 될 것입니다. EVM 기반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Solidity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텐더민트 합의가 이더리움(PoW 합의 메커니즘 기반)보다 초당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모스 네트워크의 트랜잭션 속도도 증가할 것입니다.
Polkadot은 강력한 기술 팀이 이끌고 블록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을 해결하는 데 전념하는 또 다른 프로젝트입니다. Polkadot은 Web3 Foundation의 회원인 Parity에서 개발했습니다. 그들은 Ethereum 클라이언트 Parity(Rust로 작성)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기술 설계 및 프로토콜
Cosmos가 그렇듯이 Polkadot은 컨센서스 아키텍처를 상태 프로그램에서 분리합니다. 백서에 따르면 Polkadot의 합의 엔진은 실제로 Tendermint와 HoneyBadgerBFT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Youtube 영상에서 Polkadot 팀은 PBFT를 위해 Aurand와 Tendermint의 하이브리드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언급했습니다. Aurand는 검증자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2/3 구성원의 합의 없이 블록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컨센서스 엔진의 설계는 컨센서스 형성을 더 빠르게 하지만 검증자가 악의적으로 행동하는 경우 블록도 재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설명
Parachain
Polkadot과의 상호 운용성
Cosmos와 Polkadot의 상호 작용 전략도 매우 유사합니다. Polkadot 네트워크에는 Cosmos Hub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중앙 커넥터인 "릴레이 체인"이 있습니다. 또한 파라체인이라고 하는 "릴레이 체인"에 연결된 블록체인이 있습니다. 코스모스존과 파라체인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폴카닷도 코스모스 페그 존과 유사한 실시간 블록체인과 연결되는 브릿지를 장착할 예정이다.
Bridges
Parachain과 Cosmos Zone 모두 체인 릴레이를 사용하여 블록체인 간의 상호 작용을 실현합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구현 측면에서 둘 사이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체인에 연결하여 안전한 공유를 달성하는 방법입니다. Polkadot에서는 네트워크 보안을 풀링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일 체인이 집단 보안을 사용하여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고도 매력과 신뢰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솔루션은 Dots를 바인딩하여 새로운 Parachain을 생성하거나 Dots를 바인딩 해제하여 쓸모없는 Parachain을 제거함으로써 구현됩니다. Cosmos는 새로운 체인을 생성하기 위해 Atom을 바인딩할 필요가 없으며 중앙 Cosmos Hub가 Cosmos Zone에 연결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거버넌스 방법을 사용합니다.
Bridge 및 Peg Zone은 해당 네트워크에서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이더리움 메인넷과 같은 라이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모두 연결할 수 있습니다. Cosmos와 Polkadot 모두 출시 시 Ethereum 메인넷에 빠르게 연결되기를 희망합니다.
두 체인 간의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기 위해
앞서 언급했듯이 Cosmos Hub와 상호 작용하는 첫 번째 체인은 Ethermint입니다. 아마도 Polkadot은 Ethermint와 유사한 체인을 생성할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Polkadot 팀은 Ethereum Parity 클라이언트에 대한 상당한 경험을 축적했기 때문에 쉽게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폴카도트 네트워크
Polkadot 네트워크는 기본 토큰이 "Dots"인 지분 증명 블록체인입니다. 도트는 거버넌스를 제공하고 토큰 소유자가 이론적 규칙에 따라 정직하게 행동하도록 장려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중심 부분은 "릴레이 체인(Relay Chain)"으로 코스모스 네트워크에서 코스모스 허브의 기능과 유사합니다. Polkadot 네트워크에는 Validators, Nominators, Collators 및 Fishermen의 네 가지 주요 이해 관계자 그룹이 있습니다. Polkadot은 또한 "베기"를 통해 잘못된 행동을 처벌합니다.
Polkadot의 검증인은 Cosmos의 검증인과 동일한 역할을 하며 추천인은 Cosmos의 위임인과 유사합니다. Polkadot 백서의 아래 다이어그램은 각 스테이크 스테이커가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보여줍니다.
검증자는 저장된 데이터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모든 파라체인에서 완전히 동기화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효성 검사기는 새로운 Parachain 블록을 저장하고 유효성을 검사하는 작업을 "Collators"라고 하는 제3자에게 위임합니다. 교정자의 주요 임무는 유효한 Parachain 블록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전체 노드를 유지해야 합니다. Collators는 또한 캡슐화되지 않은 블록의 영지식 증명을 수행하고 Parachain 블록을 Relay Chain에 제출하는 책임이 있는 하나 이상의 검증자에게 제공합니다. 교정자와 검증자는 이러한 작업에 대한 수수료를 받습니다.
프리랜서 현상금 사냥꾼처럼 어부들은 큰 보상을 찾습니다. 예상대로 그들의 단순한 존재만으로도 장난은 거의 없습니다. 검증자와 교정자는 악행을 저지르면 어부에게 잡혀서 벌을 받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어부들은 Polkadot 네트워크에서 유효성 검사기 또는 공동 작업자의 불법 활동에 대한 증거를 보냅니다.
거버넌스는 주로 네트워크에서 Dots 투표를 통해 여러 계층으로 나뉩니다. Polkadot 팀은 또한 주식 이해 관계자의 관심을 받지 못한 제안에 대해 투표하기 위해 12-24개의 계정으로 구성된 협의회를 구성할 계획입니다. 이것은 투표율이 낮은 제안에 대한 폴백 솔루션입니다. 그들은 또한 적응형 쿼럼 편향을 통합하고 장기 보유자나 유효성 검사기 또는 오랫동안 네트워크에 기여한 dApp 개발 팀에게 더 많은 투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과 같이 투표에 다양한 투표 가중치 메트릭을 제공할 것을 약속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디어는 현재 개념적 단계에 불과합니다.
메인넷 런칭 현황
Substrate
Polkadot 팀의 첫 번째 개념 증명(Proof of Concept)은 블록을 검증하고 상태 전환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은 테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Dots 토큰 전송을 구현했습니다. 개념 증명은 나중에 WebAssembly를 지원하는 Rust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들은 2019년 3분기에 메인넷을 출시할 계획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개발은 Polkadot을 기반으로 합니다.
Substrate는 블록체인 구축을 위한 기술 스택입니다. Cosmos에서 Cosmos SDK의 역할과 매우 유사합니다. Polkadot 네트워크는 Cosmos 네트워크가 Cosmos SDK에 구축된 것처럼 Substrate에 구축됩니다. 합의나 네트워킹에 대해 걱정할 필요 없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집중하세요.
Substrate는 Rust로 작성되었지만 상태 시스템의 핵심 기능은 WebAssembly로 컴파일됩니다. 컴파일된 Rust 코드를 직접 사용하거나 WebAssembly 변환기를 통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그림을 참조하십시오.
Polkadot에서 dApp 생성
코스모스와 폴카닷 비교
합의 프로토콜
두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와 서로 어떻게 쌓이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것은 이 기사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두 프로젝트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미래에 어느 네트워크가 더 성공할지 스스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합의 프로토콜
둘 다 PBFT 합의를 위해 Tendermint를 사용하지만 Polkadot은 Aurand를 보완하는 하이브리드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을 약속합니다. 하이브리드 컨센서스 방식은 컨센서스 형성 속도를 높이지만 블록 재활용 가능성도 가져옵니다. 두 방식 모두 실시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테스트해야 합니다. 물론 두 합의 프로토콜 모두 Ethereum 및 Bitcoin 네트워크의 PoW 합의보다 훨씬 빠릅니다.
Polkadot은 또한 웹 사이트에서 "낙관적 BFT 권한 증명"이 사용될 것이라고 언급하지만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합니다. Web3 Foundation은 최근 "Polkadot은 완전히 공개되고 공개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특정 조직이나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 의해 유지 관리될 필요가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백서에서 Polkadot이 제안한 전반적인 디자인으로 판단하면 Dots의 PoS 증명이 합의를 지배할 것이 분명합니다. PoA 증명(권한 증명)이 결국 사용되더라도 보조 역할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둘 다 거버넌스와 지분 프록시를 위한 토큰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네트워크 모두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유효성 검사자와 유효성 검사자에게 토큰을 위임하는 위임자/지명자가 있습니다. Collators(Parachain 지원) 및 Fishermen(악당 행위자에 대한 네트워크 탭 유지)도 Polkadot 네트워크에 추가됩니다. 두 프로젝트 모두 가해자에 대한 처벌 조치가 있으며, 메인넷이 런칭되면 해당 처벌 지표가 조정 및 테스트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Polkadot의 PoS 합의 설계는 더 미묘하지만 더 복잡합니다.
통치
코스모스의 장점은 메인넷을 먼저 공개한다는 점과 상대적으로 단순한 설계로 지분 이해관계자들이 보다 쉽게 안정적인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생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Polkadot의 장점은 4명의 지분 이해 관계자 구성으로 네트워크를 보다 분산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두 프로젝트 중 어느 것이 더 낫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시간이 말해 줄 것입니다.
통치
Cosmos의 거버넌스 프로토콜은 검증자, 위임자 및 서면 헌법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복잡하지 않습니다.
라이브 블록체인의 PoS 거버넌스는 대부분 테스트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두 프로젝트 팀이 테스트 초기에 거버넌스 프로토콜을 조정하기 위한 해당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두 설계 모델 모두 작은 반복과 개선을 통해 보다 강력한 분산형 거버넌스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깨끗합니다. 처음부터 무리한 시스템과 규칙을 강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단순하게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은 또한 이 두 프로젝트의 탁월함입니다.
안전
또한 네트워크는 일부 악의적인 검증자가 전체 네트워크를 제어하지 못하도록 충분히 분산되어야 합니다. 고맙게도 이를 통해 EOS 메인넷이 출시되었을 때 직면했던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는 21 BP 노드의 하한으로 인해 너무 중앙 집중화되었습니다.
안전
Polkadot은 Parachain과 Relay Chain이 "풀 보안"을 공유하도록 허용하는 반면 Cosmos는 Zone을 사용하여 자체 네트워크 보안을 보호합니다. 즉, 새로운 Parachain을 시작하려면 Parachain을 Polkadot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많은 Dot을 축적하고 이 토큰을 약속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 Parachain의 보안은 Dots 자체에 뿌리를 두고 있으므로 전체 네트워크에서 공유 보안 모델을 생성합니다.
Cosmos는 Zone이 소위 "Sovereign Zone"이라고 하는 자체 보안 모델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Cosmos Hub가 거버넌스를 사용하여 Cosmos Hub에 액세스할 수 있는 영역을 결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체계는 이론상으로는 작동하지만 악의적인 영역이 검증자를 성공적으로 속여 자신이 합법적이라고 믿게 하면 실제로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악의적인 영역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중앙 Cosmos Hub를 공격하고 Cosmos 네트워크에서 Atom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Cosmos의 Sovereign Zone을 사용하면 연결된 각 Zone이 자체적으로 안전한 분산 네트워크를 생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Cosmos Hub에 완전히 사용 가능한 5개의 Zone이 있는 경우 100명의 Cosmos 검증자와 5*100개의 Zone 검증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Polkadot보다 더 분산된 모델입니다. 제대로 작동하면 제대로 작동해야 합니다.
100명의 Polkadot 검증자가 Relay Chain과 5개의 Parachain을 보호할 수 있는 반면 Cosmos 네트워크에는 100개의 Hub 검증자와 500개의 Zone 검증자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또한 Polkadot 모델에서 새로운 Parachains를 생성하는 것을 비교적 쉽게 해주지만, Dots 소유자의 손에 권력이 집중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Cosmos는 보다 분산된 보안 모델이지만 구현하기가 더 어렵습니다.
그러나 Cosmos 팀은 메인넷 출시 직후 공유 보안 모델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을 구현하면 개발자에게 큰 유연성을 제공할 것입니다. 개발자가 Cosmos에서 Atom 기반 보안을 공유하거나 자체 토큰 및 보안 시스템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보안 모델 간의 절충점은 거버넌스를 통해 소버린 존을 네트워크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가능성은 낮지만 악의적인 존이 네트워크에 연결할 가능성도 열어줍니다.
속도와 확장성
상호 운용성
개발자
두 네트워크 모두 체인 릴레이를 통해 중앙 허브에 연결됩니다. 그들은 모두 Peg Zones/Bridges를 통해 Ethereum 메인넷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연결을 더욱 빠르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들은 각자의 네트워크에서 빠르고 쉽게 EVM Zone/EVM Parachain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Cosmos는 메인넷이 안정화된 후에 Ethermint를 출시할 예정이며 Polkadot도 비슷한 계획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개발자
Cosmos SDK와 Polkadot Substrate는 모두 개발 플랫폼용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개발자가 네트워크에서 자신의 블록체인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이 스마트 계약과 토큰으로 했던 것처럼 두 팀 모두 개발자 친화적인 새로운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두 플랫폼에서 개발하는 것의 주요 차이점은 Polkadot은 WebAssembly 및 Rust 언어를 사용하는 반면 Cosmos는 Golang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Polkadot은 더 나은 미래 보장을 위한 비전으로 WebAssembly를 지원합니다. WebAssembly는 Google, Apple, Microsoft 및 Mozilla의 지원을 받으며 향후 10년 이내에 널리 사용될 것입니다. Rust는 또한 WebAssembly로 컴파일되는 주요 언어 중 하나가 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해 왔습니다. 향후 5년을 내다보며 Polkadot은 장기적인 개발자 매력 측면에서 올바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더리움에서 보았듯이 때때로 시장에 가장 먼저 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언어로 스마트 계약을 작성할 수 있는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는 다른 블록체인이 있지만 이더리움은 거의 모든 스마트 계약 활동을 다룹니다. 많은 초기 개발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은 Solidity와 EVM을 중심으로 생태계를 구축했기 때문입니다.
코스모스가 가장 먼저 출시될 것입니다. Cosmos에서 개발하는 주요 방법은 Cosmos SDK의 Golang 언어와 Ethermint를 기반으로 새로운 체인을 만들 수 있는 Javascript 구현 도구인 Lotion-JS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Lotion-JS 웹사이트에서도 Lotion-JS 코드가 보안 감사를 통과하지 않았으며 보안을 보장하려면 Cosmos SDK를 사용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Cosmos는 WebAssembly 관련 작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Golang이 곧 WebAssembly에 대한 컴파일 지원을 추가할 것이라고 믿을 수 있습니다. 그들은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마지막으로 Golang은 배우기 쉬운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전 세계적으로 Rust보다 더 많은 개발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메인넷 런칭
여기서 코스모스가 유리한 것 같지만 폴카닷도 코스모스가 저지른 실수에서 배울 기회가 있습니다.
요약하다
첫 번째 레벨 제목
요약하다
현재 어떤 네트워크가 더 성공할지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어느 네트워크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것인지, 어느 네트워크가 더 많은 개발자를 끌어들일지는 말할 수 있습니다.
Cosmos와 Polkadot 사이에 궁극적으로 승자는 단 한 명뿐이지만, 이들이 공존하고 상호 연결되는 영역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주목할 가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네트워크 모두 Ethereum 메인넷에 Peg Zone/Bridge를 생성하는 경우 Dots의 ERC20 토큰을 사용하여 Atom의 ERC20 토큰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두 네트워크의 안전한 상호 작용이 가능합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이더리움, 모든 Parachains 및 Zone이 상호 운용 가능한 결합된 블록체인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이더리움의 플라즈마 체인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source
[1] Chain Interoperability— Vitalik Buterin, September 2016
[2] Tendermint Whitepaper
[3] The Cosmos Network Website
[4] Understanding the Value Proposition of Cosmos — Cosmos Network Blog
[5] Cosmos Whitepaper
[6] A Beginners Guide to Ethermint — Cosmos Network Blog
[7] The Internet of Blockchains — How Cosmos Does Interoperability, Starting with the Ethereum Peg Zone — Cosmos Network Blog
[8] Latest in Cosmos Critical Community Update May — Cosmos Network Blog
[9] Introducing the Hard Spoon — Cosmos Network Blog
[10] Polkadot Network website
[11] Polkadot Whitepaper
[12] EH18 Gavin Wood — Tech Talks: The Energy Blockchain — Tech Update
[13] Polkadot Lightpaper
[14] How Polkadot Tackles the Biggest Problems Facing Blockchain Innovators — Polkadot Network Blog
[15] Gavin Wood Edcon 2018 Polkadot Presentation
[16] Now Live — Polkadot Proof of Concept — Polkadot Network Blog
[17] WebAssembly Wikip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