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aking赛道顶流项目,详解EigenLayer的逻辑、风险及生态玩法
野花说BitFlower
2024-01-31 03:42
本文约2769字,阅读全文需要约11分钟
2024年重量级叙事-Restaking

원작자 : Tiezhusun

원본 출처: 야생화

1. 재서약 배경: POS 메커니즘 하에서 네트워크 검증이 문제점이 되었습니다.

부테린이 블록체인 세계를 제안한 이후불가능한 삼각형마지막으로 탈중앙화, 보안, 고성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는 없습니다. 지금까지 암호화폐 세계 인프라의 모든 혁신은 이 세 가지 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아직까지 이 법칙을 위반한 프로젝트는 없습니다. 이더리움에 대한 부테린의 원대한 비전에서 탈중앙화와 보안은 항상 메인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확고하게 파악되었으며, 성능 수준은 오프체인 레이어 2 레이어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2022년 9월 이더리움의 보안 아키텍처가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POWPOS로 전환한 이후 스테이킹 생태계는 점차 활발해졌고, 결국 네트워크 검증자 역할을 하는 노드가 많아질수록 이더리움 생태계의 보안성과 탈중앙화가 높아져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거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이더리움 메인 블록에 다수의 네트워크 검증자가 있는 것에 비해 oracles, defi, DALayer 등 다른 것들도 보안이 필요합니다. DYDX, Chainlink 등 자금이 부족하지 않은 프로젝트 당사자의 경우 돈을 들여 새로운 퍼블릭 체인을 구축하고 시간과 에너지를 들여 자체 네트워크 검증 노드를 구축할 수 있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대부분의 프로젝트 당사자가 그렇지 않습니다.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만 있고, 돈이 없으면 더욱 보안이 시험대에 오르게 되는데, 이는 크로스체인 브릿지 프로젝트에서 더욱 두드러진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Eigenlayer는 안전한 공유를 핵심 내러티브로 삼는 Restake 개념을 처음으로 제안했습니다.

2. Eigenlayer 프로토콜의 작동 방식: 2차 스테이킹 및 안전한 공유 시스템 구축

1. 재서약 모드

재입당의 본래 의미는 담보로 잡은 자산을 두 번째로 담보로 담보로 담보로 제공하는 것인데, 이러한 담보 계획은 다른 플랫폼이나 프로토콜에서 운영됩니다. 따라서 리스테이킹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면 이더리움 스테이킹 트랙에 대한 간략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이더리움 스테이킹 트랙은 본질적으로 네트워크 검증인을 기반으로 한 스테이킹이며, 가장 큰 단점은 높은 임계값(32ETH)과 락인 기간입니다. 즉, 이러한 약속된 ETH는 이론적으로 잠겨 있습니다. 시장은 유동성 스테이킹을 기반으로 파생상품(LSD)을 탄생시켰으며, 현재 가장 큰 TVL은 리도(Lido)로 시장점유율이 거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유동성 담보 계약의 기본 업무는 이더리움 검증 노드에 대한 32 ETH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개인 소매 투자자가 약속한 ETH 풀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Lido가 발행한 stETH와 같이 1:1의 배분 비율로 사용자가 ETH를 인출하려는 경우 파생 토큰이 반환(파기)되고 동시에 동일한 담보 지분을 받게 됩니다. ETH와 보상.

위의 내용은 일반적인 유동성 스테이킹 과정이며, Eigenlayer 재담보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단계 더 발전하여 LSD에 있는 서약서를 Eigenlayer에서 재담보할 수 있습니다.


서약을 취소하는 경우 7일 에스크로 기간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 검증 노드의 기본 재스테이킹도 제공되며 이러한 작업은 이더리움 검증기에서 수행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Eigenlayer는 네 가지 재스테이킹 모드를 제공합니다.

1. 원주민 재서약. 이더리움 기반 네트워크 검증자는 출금 자격 증명을 EigenLayer 계약에 지정하여 스테이킹된 ETH를 다시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2.LST는 열심히 약속합니다. 검증인은 LST를 스테이킹하여 다시 스테이킹할 수 있으며, ETH는 Lido 및 Rocket Pool과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LSD를 EigenLayer 스마트 계약으로 전송하여 다시 스테이킹해 왔습니다.

3. ETH LP 재약정. 검증인은 ETH를 포함한 한 쌍의 LP 토큰을 스테이킹합니다.

4. LST LP 재공약. 검증인은 Curve의 stETH-ETH LP 토큰과 같이 유동적으로 스테이킹된 ETH 토큰을 포함하는 한 쌍의 LP 토큰을 스테이킹합니다.

2. Eigenlayer 보안 공유 구현 메커니즘: 공동 보안 및 자유 시장

Eigenlayer의 재서약은 Ethereum 기본 계층의 보안을 공유하는 역할을 하며, 그 구현은 주로 풀링된 보안과 공개 시장의 두 가지 메커니즘에 의존합니다.

풀링된 보안의 주요 운영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더리움 검증자는 자신의 비콘 체인 출금 자격 증명을 EigenLayer 스마트 계약으로 설정하고 EigenLayer를 기반으로 새 모듈을 구축하도록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은 모듈에 참여하기로 선택한 검증자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된 ETH는 추가 삭감 조건을 부과하며, 그 대가로 검증인은 스테이킹된 자격 증명으로부터 보상을 받고 AVS(Active Verification Service) 서비스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 추가 수입을 얻습니다.

자유 시장 거버넌스(공개 시장): EigenLayer의 공개 시장 메커니즘은 주로 검증자가 풀링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과 AVS가 풀링된 보안을 사용하는 방법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기서 검증자는 EigenLayer를 기반으로 건물에 참여하거나 나갈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 모듈에 대해 개별 모듈 검증인은 재담보된 Eth를 모듈에 할당하도록 완전한 인센티브를 받아야 하며, 검증인은 추가 삭감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가 풀 보안을 할당할 가치가 있는 모듈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즉, 자유 시장 거버넌스의 본래 의도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경쟁적인 시장을 구축하는 것인데, 직설적으로 말하면 검증자는 자신의 위험과 보상에 따라 어떤 프로토콜을 제공할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처벌 메커니즘 측면에서도 Eigenlayer는 악의적 공격에 대한 비용을 대폭 증가시켰으며, 전체 처벌은 스마트 계약에 의해 실행되며 악의적인 투자자를 ETH의 최대 50%까지 처벌할 수 있습니다.

3. Eigenlayer의 운영: 약속자, 운영자 및 AVS 서비스 수요자의 3자 관계

대부분의 re-stake 사용자에게는 Eigenlayer 플랫폼에서 re-stake를 통해 보상을 얻는 것이 좋은 투자이지만 동시에 AVS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에는 고려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와 플랫폼 프로토콜은 운영자의 역할을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두 가지 운영 모드로 구분됩니다.

1) 솔로 스테이킹: 한 가지 상황은 재담보자가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opt-in플랫폼 상의 AVS는 이에 대한 검증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며, 또 다른 경우에는 재서약자가 고유층 플랫폼의 운영을 다른 주체에게 위탁하고 보상을 제공하며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검증 책임을 계속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위임 모델: 이 모델은 완전 보관과 유사하며 위임 모델에서는 재담보자의 권리와 이익이 제3자 운영자에게 전적으로 위임됩니다. 페널티가 줄어들고 리스테이커 자신도 페널티를 받게 되므로 플랫폼은 성공적인 기록을 보유한 평판이 좋은 운영자를 추천합니다.

구체적인 과금모델의 경우 재담보자와 사업자 사이에 자유로운 위탁시장이 존재하는데, 즉 위탁수수료의 비율은 양측이 결정하지만, 전체 수수료는 AVS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에서 제공하게 된다.

존재하다신뢰 모델실제로 재담보자와 운영자 간의 신뢰는 LSD 서약과 마찬가지로 주로 이익 공동체, 즉 기본적으로 상호 신뢰에 의존하며 운영자와 AVS는 주로 페널티 메커니즘에 의존합니다.

3. 고유층 생태학적 게임플레이: 잠재적인 위험보다 긍정적인 의미가 더 중요하며 잠재적인 프로젝트는 큰 관심을 받을 가치가 있습니다.

1. 위험성: 안전한 공유의 논리적, 이익적 문제

본질적으로 Eigenlayer 프로젝트는 이더리움 생태계의 마트료시카 인형 프로젝트인데, 이러한 안전한 공유 논리에 따라 이론적으로 무한한 마트료시카 인형이 생성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이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의 근본 원인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이는 부테린이 재약정의 위험을 걱정하는 중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즉, 재약정 프로토콜은 큰 손실이 발생할 경우 이더리움의 기본 합의에 의존합니다. 이 영향은 레이어 1로 전달됩니다. 이로 인해 레이어 1 네트워크 자체에서 규범적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소위 합의 과부하 문제입니다. 금융계의 표현으로는 합의 자체에 대한 과도한 레버리지는 합의 자체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Eigenlayer의 마트료시카 속성은 부인할 수 없지만 제한된 마트료시카 인형을 기반으로 이는 실제로 이더리움 자산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이더리움 메인 체인에 대한 보안 합의를 적당히 확장합니다. 정말 매우 이더리움 생태계 자체의 번영에 도움이 됩니다.프로젝트의 성격상 SaaS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사람들도 있지만,RaaS. 암호화 세계의 미래를 내다본다면, 한 가지 분명한 추세는 퍼블릭 체인 경쟁이 춘추전국시대에 진입했다는 것입니다. 여러 체인이 빛나고, Daap이 속속 등장하며, 소수의 고급 체인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암호화 세계에서는 수준 높은 보안 합의가 대중화되었으며, 이것이 Eigenlayer와 같은 프로젝트의 단계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잠재적인 위험보다 긍정적인 의미가 더 큽니다.

위험 관점에서 볼 때 Eigenlayer 프로젝트의 가장 큰 잠재적 위험은 안전한 공유 개념 자체의 논리적 어려움입니다. 보안을 보장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은 공유할 필요가 없지만 공유해야 하는 사람은 극도로 안전하지 않고 천둥번개를 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Eigenlayer는 특히 Re-staker의 경우 아직 갈 길이 멀고 높은 수익이나 에어드랍이 없으면 기본적으로 Re-stake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미래?라는 물음표가 있지만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최고의 투자 기관과 컨셉의 지원으로 시장 가치 기대에 문제가 없습니다. 장기적으로 Eigenlayer의 모델은 특히 모듈화가 점점 대중화되는 세계에서 작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빠르고 편리하며 저렴한 배포 방법은 매우 상상력이 풍부한 이야기입니다.

野花说BitFlower
作者文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