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G: DAW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온체인 게임의 세계를 창조합니다.
EVG
2023-09-12 06:21
本文约13450字,阅读全文需要约54分钟
분산형 자율 세계인 DAW는 풀체인 게임의 하위 집합으로, 미리 설정된 게임 플레이가 없는 풀체인 개방형 게임 유형입니다. 풀체인 게임과 DAW에 대해 논의하기 전에 먼저 게임 자산, 게임 로직, 게임 상태, 게임 데이터 저장 등 게임이 다루는 다양한 측면을 간략하게 분석합니다.

원저자: Everest Ventures Group, Darren

1. 게임 개발 시연

네 가지 유형의 게임 비교

Web2 게임

이 기사에서는 Web2 게임을 자율 세계 게임과 비자율 세계 게임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눕니다. 두 종류의 게임 모두 게임과 관련된 모든 요소가 게임사의 서버에 저장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게임 자산과 게임 플레이 규칙은 모두 중앙화된 회사에 의해 통제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게임 내 자산에 대한 실제 소유권이 부족하며 게임 회사는 가상 아이템, 캐릭터 및 게임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어가 가상 자산을 자유롭게 거래, 판매 또는 수익화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종종 일련의 불쾌한 경험으로 이어집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플레이하던 중 블리자드가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 스킬을 삭제했다는 이유로 불만을 품고 게임을 종료하기로 결정한 일이 있다. 게다가 최근 몇 년간 블리자드는 중국 서버를 폐쇄해 중국 플레이어들에게 매우 불쾌한 경험을 안겨주었습니다.

Web2 비자율 세계 게임

위 그림과 같이 본 글에서는 지금까지의 온라인 게임을 총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다. 그 중 Web2의 비자율 세계 게임에는 Honor of Kings, League of Legends 및 Eternal Calamity와 같은 게임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게임은 일반적으로 게임 내에서 다음과 같은 특정 목표를 설정합니다."계급",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이들 게임은 상대적으로 탈중앙화 및 자율성 수준이 낮습니다. 자율 세계 게임과 비교할 때, 이러한 게임의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창의성이 덜하고 게임의 개방성도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Web2 자율 세계 게임(CAW)

위에서 언급한 비자율 세계 게임 외에도 Web2 게임에는 위 그림과 같이 자율 세계 게임 범주도 포함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게임은 자율성 수준이 높지만 분산화 수준도 매우 낮습니다.

Minecraft는 이러한 유형의 게임을 대표하는 대표적인 게임입니다. Minecraft는 플레이어가 여러 블록으로 구성된 동적으로 생성된 자율 세계를 탐색하고, 상호 작용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게임입니다.

블록 외에도 환경에는 동물, 식물 및 물체도 포함됩니다. 게임의 내용에는 광석 수집, 적대적인 생물과의 전투, 게임 내 다양한 ​​자원 수집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공개 게임 모드를 통해 플레이어는 다양한 멀티플레이어 서버나 싱글플레이어 맵에서 건물과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마인크래프트에서는 플레이어가 게임의 명확한 최종 목표를 갖고 있지 않으며, 게임에서 자유로운 창작이 장려되어 다양한 새로운 플레이 방식이 제공됩니다. 플레이어는 집을 짓고 동물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급 게임 플레이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앵커 플레이어는 대량의 TNT를 교묘하게 사용하여 화려한 폭발 효과를 만들어냈고, 다른 플레이어는 게임 내에서 운영 컴퓨터를 구축하기도 했습니다. 미니게임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Minecraft에는 숨이 막힐 정도로 멋진 게임플레이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크리에이티브 모드 외에도 마인크래프트에는 다른 게임 플레이 모드도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바이벌 모드에서 플레이어는 자원을 수집하고, 대피소를 건설하고, 도구와 무기를 만들고, 적과 싸워야 합니다. 어드벤처 모드에서 플레이어는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만든 지도에서 모험을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일부 창의적인 작업을 제한하므로 플레이어는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게임은 규칙에 따라 진행됩니다.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플레이어는 LAN이나 인터넷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와 함께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협동 건물, PvP(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전투, 멀티플레이어 모험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플레이어가 타사 모듈을 설치하여 게임 플레이 방식을 변경하고 새로운 콘텐츠와 기능을 추가하여 게임의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도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

다음은 Minecraft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임 모드 중 일부에 불과합니다. 게임의 자유도와 확장성이 높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자신의 관심과 창의성에 따라 다양하고 독특한 플레이 방식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Web3 게임

초기 GameFi

앞서 언급한 것처럼 Web2 게임은 모두 중앙화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게임(GameFi) 분야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게임에 더욱 최적화된 게임 플레이와 경제 사이클을 도입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가 시작됐다.

  • 체인의 자산

그리하여 게임파이(GameFi)가 탄생하게 되었는데, 게임파이(GameFi)는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하면서 돈을 벌 수 있도록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게임을 말한다.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미션을 완료하고, 다른 플레이어와 대결하고, 레벨을 완료하여 암호화폐 및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보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유형의 게임은 위의 두 가지 유형의 Web2 게임보다 탈중앙화 수준이 더 높지만 게임에는 여전히 자율성이 부족하고 탈중앙화 수준도 아직 충분하지 않습니다.

GameFi 탄생 이후 Axie, Stepn 등 유명 프로젝트가 탄생했으며, 게임 내 자산을 NFT(Non-Fungible Token)로 체인에 올려 개방형 유동성 경제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한편으로는 게임 자산에 재정적 속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플레이어 자산의 고유성과 변조 불가능성을 보장합니다.

  • 충분히 분산되지 않음

그러나 자산이 체인에 있더라도 게임의 핵심 로직과 게임플레이는 여전히 오프체인에 남아 있기 때문에 여전히 어느 정도 중앙화 문제가 존재합니다. GameFi 초기에는 게임 개발자의 권한이 너무 광범위하여 Web2 게임 개발자와 마찬가지로 게임 내 자산의 속성, 게임 플레이 규칙, 심지어 자산의 가치까지 마음대로 변경할 수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Stepn(run-to-earn gamefi)에서는 게임 개발자가 게임 내 자산의 가치를 마음대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운동화 한 켤레로 하루에 100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지만 이후에는 게임 개발자가 일방적으로 운동화의 속성을 변경했으며, 수정하면 이 혜택이 $50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GameFi 초기에는 여전히 어느 정도 중앙화 문제가 있었습니다.

  • 경제모델은 비합리적이다

또한, 본질적으로 대부분의 초기 GameFi 게임은 사실상 후발자 탈취 게임이며, 초기 참여 플레이어는 게임을 통해 많은 양의 토큰을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토큰은 실제로 가치가 없습니다.

GameFi 초기에는 플레이어가 게임에 참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NFT를 구매해야 하고 동시에 게임 중에 GameFi 토큰 보상을 받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게임팀은 플레이어에게 NFT 구매를 강요함으로써만 수익을 얻는 경우가 많으며, 생산되는 토큰에 상한선이 없기 때문에 토큰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신규 플레이어만이 토큰 가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NFT를 계속 구매합니다.

따라서 NFT를 구매하는 신규 플레이어가 게임 팀에 가져오는 수익이 팀의 토큰 재구매 투자 금액보다 낮아지면 팀은 토큰 가격을 안정화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토큰 가격도 하락하게 됩니다. 그러면 초기 플레이어들이 매도를 시작하게 되고, 이로 인해 패닉이 촉발되어 더 많은 플레이어들이 현금을 인출하게 되어 악순환이 형성됩니다.

Web3 자율 세계 게임(DAW)

따라서 일부 사람들은 자산이 체인에서 실현될 수 있으므로 다른 모든 게임 로직과 게임 데이터 저장 장치를 블록체인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을까? 그 결과 풀체인 게임(Full Chain Game)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풀체인 게임이란 게임 자산이 블록체인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게임과 관련된 모든 요소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어 게임의 완성도 분산형 및 온체인 게임 유형입니다.

이 글의 주인공인 DAW는 풀체인 게임 중 하나이지만 DAW의 의미는 그 이상이다. DAW는"무한 게임", 내부적으로 구체적인 임무와 목표를 설정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게임 상대도 없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기본 규칙만을 제시합니다."디지털 물리적 현실"기본이자 제약으로. 공개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는 이 디지털 물리적 현실의 경계 내에서 게임 경험을 자유롭게 생성, 향상 및 확장하여 게임의 줄거리를 더욱 확장할 수 있습니다.

참고: 디지털 물리적 현실은 컴퓨팅 세계에 존재하는 기본 법칙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각 세계에는 그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지배하는 고유한 기본 법칙이 있으며, 이러한 법칙은 그 세계의 물리학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물리학은 좁은 의미로 인간이 살고 있는 원자 세계의 물리 법칙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어떤 세계에 존재하는 기본 법칙의 체계를 가리키는 것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풀체인 게임의 하위 집합인 DAW는 게임 자산, 모든 게임 관련 요소, 게임플레이 및 로직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것 외에도 다른 풀체인 게임보다 더 많은 기능과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자율 세계에서는 플레이 가능성 수준도 더욱 향상됩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DAW는 자율성과 탈중앙화 측면에서 다른 세 가지 게임 범주에 비해 훨씬 앞서 있습니다.

그렇다면 DAW의 하이라이트는 무엇일까요?

  • 완전 분산화

DAW는 체인 전체의 게임 형태로서 게임 운영사의 부도 위험에 면역되어 있으며, 게임 운영사가 파산하더라도 플레이어는 계속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반면,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중앙집권형 게임의 경우, 운영사가 어떤 이유로든 게임 운영을 중단하거나 특정 서버를 폐쇄한다고 발표한다면 플레이어에게 큰 피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산을 체인에만 올려두었던 초기 GameFi와 달리 DAW 게임의 모든 게임 관련 요소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데, 이에 비해 DAW는 더 안전하고 플레이어의 소유권이 더 강력합니다.

  • 더 많은 자율성

DAW에서는 플레이어 자율성이 더욱 강조됩니다. CAW와 자율 세계 기능을 공유하는 것 외에도 DAW 게임을 통해 플레이어는 플레이어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가상 쇼핑몰을 만드는 등 다른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DAW 플레이어는 CAW 게임에서 달성하기 어려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도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세계 정부를 설립하고 자체 규정을 제정할 수 있습니다.

  • 재정적 인센티브

DAW는 블록체인 게임으로서 토큰, NFT 등 블록체인 자산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에어드롭을 통해 특정 자산을 획득하는 등 일부 금전적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플레이어가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일부 동기 부여 목표를 게임에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OP Craft(아래에 소개됨)를 예로 들면, 게임은 플레이어가 게임 내에서 스스로 레벨을 깨는 게임을 개발하도록 장려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플레이어는 OP Craft 공식 기금에서 후원 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플레이어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플레이어가 레벨을 성공적으로 통과하면 해당 보상이 분배될 수 있습니다. 이 메커니즘은 플레이어의 창의성과 참여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의 협력과 발전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것이 진정한 플레이 앤 수익 모델일 수 있습니다.

  • 구성 가능성

풀체인 게임으로서 DAW는 또한 강력한 구성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론적 수준에서는 서로 다른 풀체인 게임 간에 자산 상호 운용성을 달성하여 메타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Dark Forest에 있는 플레이어의 우주선 자산을 OP Craft에서 사용할 수 있고 OP Craft 게임에서 다른 플레이어가 플레이어가 이 우주선을 비행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처럼 과감한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참고: Dark Forest는 Ethereum을 기반으로 구축된 분산형 실시간 전략(RTS) 게임으로, Liu Cixin의 Three Body 3부작 중 두 번째 소설인 Dark Forest와 동명의 사고 실험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플레이어가 절차적으로 생성되고 암호로 지정된 무한한 우주에서 Odaily를 발견하고 정복하는 MMO 우주 정복 게임입니다.

현재 위의 아이디어를 완전히 실현할 수 있는 실제 프로젝트는 없지만, 위와 같은 이론적 가정은 개념적 수준에서 실현 가능하며, 이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가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태계가 성장하고 더 많은 프로젝트 당사자 간의 협력이 계속 강화됨에 따라 아마도 가까운 시일 내에 이러한 아이디어가 성공적으로 구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DAW는 GameFi로서 토큰을 발행할 수 있으며, 해당 토큰을 DeFi와 결합할 수도 있습니다. 플레이어는 토큰을 채굴 풀에 담보로 제공할 수 있으며, 형성된 거래 쌍을 다른 DeFi 프로젝트에 다시 담보로 제공하여 2차 혜택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기타 다양한 DeFi matryoshka 게임 플레이가 DAW에 많은 색상을 추가합니다.

2. DAW 구현 방법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DAW는 다른 게임에 비해 핵심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데, DAW는 이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까요?

탈중앙화는 게임의 전통적인 개발자로부터 플레이어의 창조적인 실체로 게임 권리를 더 많이 이전하고, 결합성은 오랫동안 폐쇄된 정원의 벽을 허물고, 플레이어의 진정한 소유권을 부여합니다.

그러나 GameFi 초기에는 Web3 세계가 주장하는 진정한 탈중앙화와 결합성을 보지 못했습니다. 플레이어는 게임 플레이와 게임 콘텐츠에 대한 자율성과 참여 의식이 없었고, 다양한 게임 프로젝트도 통합되지 않았습니다. 블록체인 상태의 실제 공유.

핵심 문제

DAW를 실제로 실현하려면 온체인 게임의 몇 가지 핵심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1. 게임 개발 프레임워크 부족: 각 개발 팀은 일반적으로 자체 구축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데, 이는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공유 시스템 지식을 완전히 활용하여 동일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으로 최상의 솔루션을 최적화하지 못합니다.

2. 코드 재사용성 부족: 현재 개발 중인 많은 블록체인 게임을 예로 들면, 게임 코드의 아주 작은 부분만 재사용하여 다양한 게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양한 게임의 다양한 레이어와 구성 요소 간의 명확한 구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유사한 코드 기반을 사용하여 차세대 게임을 구축할 가능성이 제한됩니다.

3. 데이터 구성성 부족: 블록체인 게임 간 블록체인 상태 공유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게임 A와 게임 B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서로를 구축하는 능력을 어떻게 달성할지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따라서 실제 DAW를 구축하려면 게임을 구축하는 방법보다 더 낮은 수준에서 시작하여 더 깊은 문제, 즉 블록체인에 대한 보다 일반적이고 적합한 게임 개발 프레임워크 또는 엔진을 찾는 방법을 해결해야 합니다.

게임 엔진이란 무엇인가

게임 엔진은 기본적으로 모듈식으로 패키지된 코드 라이브러리 및 도구 세트입니다. 게임 개발자는 상대적으로 저수준, 저수준의 프로그래밍 작업에 개입할 필요 없이 엔진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호출하여 그래픽 렌더링, 물리적 시뮬레이션, 네트워크 통신 및 기타 작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시간이 크게 절약되므로 개발자는 게임 디자인과 콘텐츠 제작에 더 집중할 수 있습니다. 상용 게임 엔진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인 엔진으로는 Unity와 Unreal이 있습니다.

현재 많은 Web2 게임과 소위 약한 링크 게임조차도 여전히 Unreal 또는 Unity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풀체인 게임이 계속 발전하고 성숙해짐에 따라 일부 Web3 게임 스튜디오는 개발자가 복잡한 분산형 게임 로직과 대화형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자체 게임 엔진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온체인 게임 엔진은 개념적으로 기존 게임 엔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둘 다 게임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구현 측면에서 풀체인 게임의 게임 상태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므로 온체인 게임 엔진의 패키징 방법은 기존 엔진과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온체인 게임 엔진은 상태 동기화, 게임 보안, 가스 요금 효율성 개선, 결합성 및 상호 운용성 보장과 관련된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입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게임 자체에 더 집중하고, 블록체인 호환성 문제에 대한 걱정을 줄이고, Solidity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풀체인 게임 엔진은 무엇입니까? MUD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현재 풀체인 게임에는 MUD, Dojo Engine, World Engine, Keystone 등 4가지 주요 엔진이 있는데, 그 중 MUD와 Dojo Engine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최초의 풀체인 게임 엔진인 MUD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MUD는 ​​풀체인 게임 엔진 분야의 최초 개척자이며 EVM 호환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주로 ECS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계약 및 클라이언트 상태의 동기화, 콘텐츠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다른 계약과의 상호 운용성 등 전체 체인에서 게임 개발의 세 가지 핵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코드 라이브러리 및 도구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는 dApp을 보다 쉽게 ​​구축할 수 있으며, 특히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복잡한 dApp 개발에 적합합니다. 이론적으로 MUD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지만 MUD의 특정 특성으로 인해 특히 온체인 게임 엔진이 되는 데 적합합니다.

배경 팀

MUD의 개발팀은 다음과 같습니다.Lattice, Lattice는 0x PARC의 하위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매우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0x PARC는 원래 전체 체인의 게임 창시자인 Dark Forest 팀과 기타 여러 프로젝트가 공동으로 설립한 조직이었습니다.

“자율 세계” 개념의 제안자 역시 0x PARC이며, 2022년 9월 중순부터 12월 중순까지 0x Prac은 “Autonomous World Resident”라는 오프라인 이벤트를 주최하여 다음과 같은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LatticeDark ForestDFDAOCAPSULE그리고Moving Castle. 이 이벤트의 목적은 자율 세계, 온체인 게임 및 관련 기술을 구축하거나 구축하는 데 관심이 있는 팀을 대면 허브로 모아 협업, 아이디어 교환, 학습, 피드백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이 신흥 분야를 형성하고 안내합니다.

이 이벤트 기간 동안 0x Prac은 이벤트 참여를 성공적으로 신청한 모든 참가자에게 재정 지원을 제공합니다. 특히 월간 교통비 600파운드/$720와 숙박비 1,500파운드/$1800를 상환합니다. 또한 0x Prac에서 추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프로젝트 범위, 팀 및 약속 수준에 따라 사례별로 고려됩니다.

또한, 위 사진과 같이 0x Prac은 최근 Autonomous Worlds Network를 출시했으며, 공식 뉴스에 따르면 이 네트워크의 주요 초점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구 및 개발: 블록체인 내부와 외부의 자율 세계의 경계를 허물기 위한 실험 방법과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2. 오픈 소스 도구 및 인프라: 새로운 세계에는 새로운 도구와 인프라가 필요하며 이러한 도구의 개발은 개방형 생태계 가치를 기반으로 권장됩니다.

3. 교육 및 생태계 개발: 자율 세계의 정의와 발전에 기여하는 개발자, 기술자,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생태계를 지원합니다.

ECS(엔티티-컴포넌트-시스템 프레임워크)

ECS는 전통적인 게임 산업의 매우 고전적인 프레임워크로, 게임 객체 간의 관계, 상호 작용 및 작업 업데이트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 엔진과 모델 세트를 기반으로 구축된 레이어입니다.

ECS는 다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장면에 필요한 데이터만 로드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입니다. 또한 개발자가 새로운 게임 개체와 시스템을 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매우 유연합니다.

게임 개발에 ECS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1. 효율성: ECS는 현재 시나리오에 필요한 데이터만 로드하는 기능 덕분에 메모리 및 CPU 사용량 면에서 탁월한 효율성을 보여줍니다.

2. 유연성: ECS는 게임 개체를 생성하고 수정하는 방식에 있어 뛰어난 유연성을 보여줍니다. 이는 엔터티 자체에는 데이터나 동작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엔터티에 연결된 구성 요소에 의해 정의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새로운 게임 개체와 시스템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3. 확장성: ECS는 중앙화된 데이터 구조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 게임에 대한 확장성이 뛰어납니다. 대신 엔터티와 구성 요소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므로 수백만 또는 수십억 개의 엔터티로 게임을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OOP 문제

ECS가 널리 채택되기 전에 게임 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했습니다. 이 방법은 클래스 구조 아래에 다양한 게임 객체를 중첩하여 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상속함으로써 전체 데이터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이 모델에는 몇 가지 명백한 문제가 있습니다.

1. 상속 관계: 게임 개체 간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초기 단계에서 정의해야 합니다(이것은 거의 비현실적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유형의 개체가 나타나고 여러 기존 클래스의 기능을 사용해야 할 때 상속이 복잡해지고 어려워집니다. 성취하다.

2. 점검 문제: 게임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클래스 수가 점차 증가하므로 점검 작업이 매우 무거워집니다.

3. 성능 병목 현상: 게임 엔진의 경우 모듈이 많지만 서로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모듈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렌더링 모듈과 네트워크 연결 모듈 사이에는 연결이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모든 속성을 하나의 개체에 집어넣으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ECS용 솔루션

참고: 이 섹션에서는풀체인 게임 ③: 엔진과 생태의 머드도장

ECS 프레임워크를 채택함으로써 MUD는 OOP 경로를 버리고 모든 속성을 상태, 위치, 요소 속성 등과 같은 별도의 구성 요소로 분해합니다.

ECS에서 엔터티는 특정 구성 요소 모음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식별자 문자열입니다. 따라서 식별자 플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 집합에 해당합니다."HP", "MP"...}기다리다. 엔터티나 구성 요소에는 운영 논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모든 작업은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동 시스템은 개체의 이동을 처리하고 피해 시스템은 전투 값 계산을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담당합니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 Boreal Games 기사의 예를 사용하여 비교해 보겠습니다. 바위, 나무, 적, 플레이어라는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 매우 간단한 게임을 개발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전통적인 OOP 구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ECS 구현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9] 풀체인 게임 ③: 엔진과 생태의 머드도장

따라서 ECS는 고도로 모듈화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임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이 디자인에서는"실재"이 개념은 게임 설계 방식에 혁명을 일으켰고, 게임 디자이너가 매번 게임 로직을 수정하기 위해 프로그래머에게 의존할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또한 다양한 엔터티 간의 관계를 나중에 조정하기가 더 쉽습니다.

  • 주권 공간이 없다

MUD의 특징 중 하나는 누구나 상태와 논리를 위한 새로운 소유자 없는 공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구성 요소 작성자는 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원활하게 작업하여 중앙 World 계약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쿼리할 수 있으므로 전체 노드 블록체인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MUD의 고유한 상호 운용성은 서로 다른 세계가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여 흥미롭고 무허가 가능성의 길을 열어줍니다.

  • 핵심 구성 요소

Web3 생태계가 성숙해짐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확장성을 달성하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할 것입니다. 많은 주목을 받는 개발이 영지식(ZK) 기술과 모듈식/DA(데이터 가용성) 블록체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MUD는 강력한 대안을 제공합니다.

MUD 사용에 관심이 있는 개발자를 위해 프레임워크에는 여러 핵심 구성 요소가 함께 제공됩니다. 상점, 세계, 주조소, 모드가 포함됩니다.

그 중 Store는 온체인 데이터베이스로서 가스 효율성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SQLite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자에게 테이블, 열, 행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전통적인 Solidity 저장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자가 관리 대안. 개발자는 Store를 통해 사용자 지정 데이터 구조(예: AllowanceTable)를 정의하고 설정 및 가져오기 작업을 사용하여 데이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World는 진입점 커널 역할을 하며 표준화된 액세스 제어, 업그레이드 및 모듈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계약과 저장소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하여 데이터에 대한 안전하고 통제된 액세스를 보장합니다. 시스템 자체는 전 세계를 대신하여 논리를 실행하고 스토리지와 상호 작용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는 무상태 계약입니다. MUD는 ​​사용자 정의 권한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계약 간의 논리를 나누어 모듈화 및 업그레이드 가능성을 촉진합니다.

Store 및 World 외에도 MUD는 Foundry(온체인 상태를 반영하는 클라이언트 데이터 저장소) 및 MODE(온체인 상태에 일대일로 매핑되는 Postgres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초고속 개발 도구도 제공합니다. 방법). MODE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SQL을 사용하여 온체인 상태를 쿼리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의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효율적인 구체화된 보기를 제공합니다.

MUD의 Store와 World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개발자는 추가 인덱서나 하위 그래프 없이도 온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온체인 데이터는 자체 관리되며 모든 변경 사항은 표준 이벤트를 통해 전파됩니다. MODE는 온체인 상태를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복잡한 폴링이나 하위 그래프 구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개발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온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MUD를 통해 개발자는 Ethereum 및 기타 EVM 호환 체인의 기능을 활용하여 복잡한 애플리케이션과 게임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강력한 상호 운용성과 중앙 거버넌스가 필요 없는 분산형 세계를 만들기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개발자는 필요에 따라 자체 구성 요소와 시스템을 자유롭게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으므로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플랫폼이 됩니다.

MUD의 잠재적인 적용 시나리오는 광범위하고 다양합니다. 이는 분산형 게임, 가상 세계, 분산형 금융(DeFi) 애플리케이션, 소셜 플랫폼 등을 구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모듈식 아키텍처와 다양한 체인과의 호환성 덕분에 다양한 프로젝트 요구 사항과 환경에 적합합니다.

요약하자면, MUD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확장성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입니다. MUD는 ​​MODE 및 효율적인 데이터 동기화 메커니즘과 같은 오프체인 스토리지 솔루션을 활용하여 개발자가 온체인 보안을 손상시키지 않고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확장성은 많은 수의 사용자와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중요합니다.

3. DAW 게임이란 무엇입니까?

머드 부서

  • OP Craft: 가장 대표적인 DAW 게임

참고: 이 섹션에서는OP Craft 공식 기사

OPcraft는 Dark Forest의 Lattice 팀이 2022년 10월에 제작한 풀체인 3D 마인크래프트 테마 게임입니다. 현재 DAW의 특징을 가장 잘 구현한 게임이기도 합니다.

OPCraft에서는 간단한 규칙 세트가 개발되었습니다. 플레이어는 블록 깨기, 블록 합성, 블록 배치, 16 x 16 크기의 토지 소유권 주장(해당 블록에서 가장 높은 다이아몬드 지분 보유자가 됨) 등 4가지 게임 내 작업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레이어는 공식적으로 제공되는 개방형 플러그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프런트 엔드를 사용자 정의하고 사용자 정의 구성 요소 및 시스템을 배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놀라운 점은 이 단순한 규칙의 게임이 출시 2주 만에 개발자들의 기대를 뛰어넘었다는 점이다. 1,500명 이상의 참여 플레이어와 350만 개 이상의 온체인 기록을 유치하는 등 데이터 측면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생성 픽셀 아트, 개별 플레이어가 만든 플러그인 및 시리즈를 촉발했습니다. 자발적인 경쟁 및 게임, 그룹 거버넌스 활동, 심지어 일부 악의적이고 우호적인 플레이어 행동까지.

  • 예술가, 건축가, 개발자의 창의성 발휘

OPCraft는 예술가와 건축가의 창의적인 천재성을 불러일으킵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목조 주택과 탑부터 고급 장인 정신에 이르기까지 마리오와 파이어 플라워, 숨이 막힐 정도로 수백 블록에 걸쳐 있는 거대한 불사조 동상과 같은 다양하고 놀라운 예술적 건물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반면에 엔지니어와"과학자"OPCraft 세계의 또 다른 한계를 탐색하기 위해 코드 능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의 사용하기 쉽고 라이센스가 필요 없는 World 1 플러그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며"구성 요소 시스템", 플레이어는 자신의 지혜를 사용하고 기술의 잠재력을 탐구하기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한 플레이어는 지리적 좌표를 고려하지 않고 자동으로 재료를 수집하는 플러그인을 출시했습니다. 일부 플레이어는 다이아몬드를 자동으로 채굴하는 드릴 도구, 문자 통신을 위한 채팅 플러그인 도구 등을 출시했습니다.

  • 구멍을 파고 메우기

장난, 나쁜 취향, 그룹 게임 등으로 인해 OPcraft의 일부 플레이어는 큰 구멍을 파기 시작했고 의심하지 않는 많은 플레이어가 함정에 빠졌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악랄한 사건은 반전되어 누군가가 함정에 빠졌을 때 일부 플레이어는 구멍을 메우거나 구멍에 직접 계단을 설치하여 구멍에 빠진 사람을 구출하기 위한 수색 구조 계획을 세웠습니다. 일부 플레이어는 함정을 피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순간이동 플러그인을 개발하기도 했습니다.

구멍에 빠진 플레이어가 DC에서 도움말을 시작했습니다.

  • 진화: 도구 및 생산성 향상

OPCraft에서 플레이어는 처음에 꽃 채집, 나무 벌목, 광석 채굴, 동굴 파기, 조잡한 목조 주택 건설, 단일 블록 너비 타워 건설과 같은 기본 작업만 수행합니다. 또한, 외관이 투박하고 형태가 읽기 어려운 디지털 오브제도 일부 제작됐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플레이어는 점차적으로 이 가상 세계에 대해 더 많이 배우고 유리 만들기, 양모 염색, 벽돌 만들기 등 더 복잡한 항목을 만드는 기술을 습득합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더욱 복잡한 재료를 사용하여 더 크고 복잡한 예술 작품과 건물을 만들어 결합 가능성을 완전히 구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플레이어는 형형색색의 양모 블록을 사용해 유니언 잭, 자이언트 팬더 등 거대한 픽셀 아트를 만들고, 그 안에서 자신만의 NFT 프로젝트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일부 플레이어는 모래, 돌, 나무, 기반암과 같은 합성 재료를 사용하여 웅장한 공중 피라미드를 만듭니다. 게이머가 6360개의 기반암 조각을 사용해 만든 다크 포레스트(Dark Forest)를 기리는 거대한 우주 테마의 오데일리(Odaily)도 있습니다.

플레이어 빌드 예시

  • 슈프림리더OP공화국

그리고 OPCraft 게임에서 매우 흥미로운 일이 일어났는데, OPcraft 테스트가 끝나기 이틀 전인 10월 29일, SupremeLeaderOP라는 플레이어가 디스코드와 트위터를 통해 세계 정부 설립을 발표했습니다.

이 플레이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많은 수의 다이아몬드(공식 정보에 따르면 135,200개)를 채굴했으며, 다이아몬드를 통해 게임 내에서 많은 토지를 소유권을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이 플레이어는 게임 내에서 세계정부 수립을 직접 선언하고, 친동지 플러그인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들이 공화국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고 세계정부의 시민이 될 수 있다. 정부에서는 모든 사유 재산(플레이어 인벤토리)을 포기해야 하지만 그 이후에는 정부 금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가 시민이 되면 최고 지도자가 배치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정부 재무용 재료를 채굴하고 국고 재료로 정부 소유 토지에 건설할 수 있습니다.

세계 정부 공화국은 무임승차하는 시민들이 기부한 것보다 더 많은 자료를 재무부에서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 신용 시스템을 도입하기까지 했습니다. 신용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시민은 자신의 노동을 기부하여 사회적 신용을 회복하는 경우에만 국고를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후 많은 게이머들은 자발적으로 플레이어를 세계정부 공화국의 최고 지도자로 환영하고, 심지어 최고 지도자의 동상을 세우기도 했으며, 동시에 일부 플레이어들은 최고 지도자를 강력히 거부하고 그들의 통제와 집단주의 정책을 비난했으며, 사람들에게 자유를 위해 저항하고 싸울 것을 촉구합니다.

  • 강력한 연주성

단 2주 만에 OP Craft 게임 내에서 많은 새로운 사회적 행동이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재미를 위해 함정을 설치하면 다른 플레이어가 협력하여 이러한 함정을 제거하고 때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굴을 채우기도 합니다.

지난 2주 동안 우리는 개발자들이 특별한 승인 없이 자유롭게 플러그인을 전례 없는 속도로 만드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더욱 놀랍게도 우리는 새로운 정부가 등장하고 게임 관계자가 미리 설계하거나 상상조차 하지 않았던 완전히 새로운 규칙과 시스템이 자발적으로 채택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DAW 게임에서는 무한한 가능성이 펼쳐져 있으며, 모든 일의 발생과 진화는 누구도 통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자유로움을 바탕으로 게임은 더욱 매력적인 게임플레이를 이끌어 내기도 했습니다. 초기에 Play to Earn에 초점을 맞춘 GameFi와 비교하면 DAW는 게임 플레이성 측면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때로는 Web2 게임에 비해 더 흥미로운 게임 경험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도장 시스템

  • 전리품 영역 시리즈

Loot Realms 시리즈의 개발팀은 BibliothecaDAO입니다. 커뮤니티 특성으로 인해 BibliothecaDAO는 기관 자금 조달을 수행하지 않았지만 2021년 12월에 자체 생태 거버넌스 토큰 $LORD를 발행하기로 결정했다는 점을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 , 2023년에는 커뮤니티의 7차 제안(BIP-7)을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위한 민간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으며, 커뮤니티의 강력한 결속력으로 마침내 6.35배의 초과 모금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현재 Loot Realms 시리즈에는 두 가지 주요 게임이 있는데, 하나는 2023년 초에 공식 출시될 Realms: Eternum입니다.알파 테스트 버전; 두 번째는 2023년 5월 ETHGlobal Lisbon에서 출시된 최초의 죽기까지 플레이하는 로그라이크 게임인 LootSurvivor입니다.

  • Realms: Eternum

Realms: Eternum은 Bibliotheca DAO가 Starknet에서 L2 높은 확장성을 사용하여 개발한 경제 및 군사 전략 게임으로 Travian, Tribal War 등 인기 웹 게임의 게임 플레이와 Catan, Risk 등 보드 게임의 게임 모드를 결합한 게임입니다. , 및 일부 경제적 요소를 참조합니다.

게임에 등장하는 8,000개의 영원의 왕국은 독립된 영토로, 각 영토의 영주들이 관리하고 개발합니다. Eternum은 영원한 게임(무한 게임)이라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이더리움이 블록을 생산하는 한 계속 실행될 것이며,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이 게임의 방향을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게임은 아직 개발 중이므로 상호 작용 경험을 개선해야 합니다.

  • Loot Survivor

Loot Survior는 플레이어가 RPG 스타일 전략을 개발하고 함정과 보스 전투에서 살아남는 데 도움이 되는 전리품을 놓고 다른 플레이어와 경쟁할 수 있는 완전히 연결된 생존 게임입니다. 모험 중에 플레이어의 캐릭터가 살아남아 상위 3위 안에 들면 게임에 참가하는 모든 새로운 모험가는 사망 후 업적을 달성할 때까지 $Lords에서 플레이어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게임 도중 플레이어의 캐릭터가 죽으면 플레이어 캐릭터 자신이 소유한 $Lords와 플레이어가 레벨 동안 획득한 전리품이 떨어지며 레벨 개발자의 수입이 됩니다. 이러한 흥미로운 게임 메커니즘은 많은 플레이어의 호감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상호 작용 측면에서 L2 네트워크 StarkNet의 느리고 불안정한 속도로 인해 StarkNet에 배포된 게임은 상호 작용마다 3~5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합니다. Loot Survivor 게임에서는 상위 50위까지 도달하는 데 최소 3~5시간이 소요되며, 개발자들은 상위 3위까지 도달하는 데 약 6시간이 소요된다고 밝혔으며, 현재 참여자 수를 고려하면 소요 시간은 6시간은 훨씬 넘게 있어.

아이작(Isaac)은 대규모 협동 게임으로, 이 게임은 류츠신(Liu Cixin)이 쓴 삼체 문제(The Three-Body Problem)를 참조하며, 게임에서 모든 플레이어는 삼체 시스템(태양이 3개 있는 은하계)에 위치한 오데일리(Odaily)에 거주하며, 그리고 이 오데일리 역시 태양에 맞아 세상이 멸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생존을 위해 플레이어는 Wandering Earth와 유사한 NDPE(항성 추진 엔진)를 구축하는 궁극적인 목표를 가지고 협력하여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며, NDPE를 통해 Odaily는 가속도를 얻고 삼체 시스템에서 탈출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플레이어는 삼체 시스템의 위험을 피하고 탈출 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Odaily의 궤적을 변경하는 적절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Topology

토폴로지별 @guiltygyoza그리고 @iamkunhokim설립되었습니다. 온체인 게임, 엔진, 기타 개발자 도구에 중점을 두는 다른 팀과 달리 이들은 DAW의 기본 구현에 중점을 둡니다. 지금까지 Topology는 ISAAC, MuMu 및 ShoShin이라는 세 가지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토폴로지는 최근 쇼신(Shoshin)을 위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는 점을 언급할 가치가 있습니다.선수권 대회

4. DAW의 한계

참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참조하세요.이 기사

기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DAW가 다른 유형의 게임에 비해 핵심적인 경쟁 우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 DAW 개발의 한계는 무엇입니까? 실제로 DAW 자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풀체인 게임이기 때문에 개발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달라지며 DAW 제한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문제가 발생합니다.

게임 카테고리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풀체인 게임은 게임 디자인의 새로운 영역을 열어주지만, 일부 중요한 균형점은 게임 유형과 기능을 제한합니다. 가장 큰 한계는 풀체인 게임이 블록체인 체인 동기화 지연의 영향을 받아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게임 상태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한 플레이어가 상태를 업데이트하면 다른 플레이어는 온체인 확인 및 게임 인덱스 업데이트를 기다려야 하므로 게임의 성격이 크게 제한됩니다. 이로 인해 풀체인 게임은 마인크래프트와 같은 비동기식 턴제 게임플레이에 더 적합한 반면, 강력한 실시간이 필요한 에버라스팅과 같은 대규모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은 달성하기 어렵습니다. 게임 사용자가 자주 작업함에 따라 스마트 계약을 읽기 위해 공용 RPC 엔드포인트가 자주 호출되어 네트워크 정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책은 RPC 혼잡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가 로컬에서 노드를 실행하는 것입니다. 또한 Ethereum의 상태 비저장 클라이언트는 Walker tree와 호환됩니다.Verkle trees), 미나의 재귀적 영지식 증명(recursive zkSNARKs), 물방울 무늬Substrate Connect모든 계획은 이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불쌍한 게임 경험

온체인 게임의 모든 로직은 스마트 계약으로 실행되며 플레이어는 게임의 모든 작업에 대해 거래 확인에 서명해야 합니다. 이는 매우 나쁜 플레이어 경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부 소셜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클릭 로그인만 요구하는 Web2 게임과 비교할 때, 온체인 게임은 초보 플레이어가 지갑을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임계값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물론 그에 상응하는 많은 솔루션이 등장했습니다.

"Burner"지갑은 현재 많은 온체인 게임에서 채택하는 전략입니다. 이 지갑은 본질적으로 일시적이며 브라우저에 로컬로 저장됩니다. 플레이어가 게임에 참여하면 지갑이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거래에 서명합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플레이를 시작하기 위해 지갑을 다운로드하거나 연결할 필요가 없으며 거래를 자주 확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 다른 해결책은"계정 추상화"(AA). 이 솔루션은 외부 EOA(외부 소유자 계정)에 스마트 계약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플레이어의 지갑 상호 작용 경험을 추상화하여 안전한 배포와 고도로 맞춤화된 스마트 지갑을 가능하게 합니다.

계정 추상화를 통해 핫 지갑 로직에 모듈식 로직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플레이어는 임시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로컬 키 쌍"새 계정(기본 계정 기준). 이 임시 키 쌍 세트의 기능은 1) 자산을 기본 지갑으로 다시 전송하는 기능, 2) 프록시 계약의 화이트리스트 내 제한된 기능 호출과 같은 제한된 기능으로만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 모듈식 아키텍처는 빈번한 게임 내 서명 작업을 줄일 뿐만 아니라 기본 지갑의 강력한 보안을 유지합니다.

또한 EOA 지갑에 비해 AA 지갑은 사용 임계값이 낮습니다. 일부 AA 지갑은 얼굴 인식만으로 로그인하는 기능까지 구현해 블록체인 지갑 사용 문턱을 크게 낮췄다.

5. 경제모델 전망

국고 채우기 위해 외부자원 수입

초기 GameFi의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는 합리적인 GameFi 경제 모델이 내부 악순환에 국한되기보다는 외부 순환을 포괄해야 한다고 합리적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게임 내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사업 확장을 통해 다양하고 내구성 있는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종류의 자원 상호작용은 외부 자금 소비(외부 사용자 지불, 게임 관련 자산 구매) 또는 내부 자금 축적(외부 희소 자원 도입, 내부 플레이어 지불 유도)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폴리우스 벤처스(Folius Ventures)의 “P2E 게임 경제에 대한 10가지 제안”을 참조하고 다음과 같은 견해를 제시합니다.

외부 리소스 가져오기와 관련하여 다음 측면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직접적인 광고 수익: Web3 시대에는 사용자의 관심이 더욱 부족해졌으며 커뮤니티 내 마케팅 활동이 사용자의 관심을 정확하게 끌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2. 상품자원 협력 : 커뮤니티 생태계가 활성화되면 비슷한 분위기의 팀들과 협력하여 부족한 보상으로 상품자원을 교환하여 사용자 참여를 촉진하고 게임 내 화폐 소비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3. e스포츠 중계 및 이벤트 배팅 : 강렬함, 재미, 수준이 높은 PVP 시나리오에만 적용되며, 중계권 확보 및 도박 수익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주변상품 유통 : 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패션 브랜드와 협력할 수도 있고, 의류, 신발 등 인기 상품을 독자적으로 출시할 수도 있습니다.

물론 위의 리소스 도입 계획은 사용자 커뮤니티와 브랜드 문화가 확립되기 전에는 실현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팀은 여전히 ​​게임 플레이와 콘텐츠에 집중하고 안정적인 경제 메커니즘을 설계하며 점진적인 확장을 위해 상대적으로 충분한 자본을 준비해야 합니다. 콜드 스타트부터.

가치유출을 줄이고 가치유입을 증대

과거 전통적인 게임 플레이어의 순수한 가치 투자와는 달리 Web3 게임이 소유한 재산권 및 임대 권리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에서 가치를 얻을 수 있으므로 순전히 수익을 추구하는 금 융자 및 투기 플레이어를 더 쉽게 유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초기 GameFi 게임의 대부분은 비반환 지향적 수요를 창출할 만큼 엔터테인먼트가 부족하여 대부분 게임의 전반적인 가치 유출이 투자한 가치를 훨씬 초과했습니다. 이러한 지속 불가능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게임은 새로운 플레이어의 투자에 의존하여 가치 손실을 만회해야 하며, 이는 지속 불가능한 관행일 뿐만 아니라 가져온 오락과 즐거움의 가치를 낭비하는 행위입니다. 게임 자체로.

따라서 게임팀은 암호화폐 사용자의 행동 습관을 이해하여 가치 손실을 줄이고 생태계에 대한 경제적 기여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사용자 경험 향상, 감성적 가치 창출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플레이어의 가치 투자를 늘리도록 유도합니다. 동시에, 게임 내 정서적 경험을 향상시켜 더 많은 플레이어가 재정적 인센티브를 받은 후 홀더가 될 수 있도록 하고, 한정된 NFT를 보유함으로써 성취감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존 게임 플레이어에게 보다 편리하고 저렴한 진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타겟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해야 합니다. 동시에, 유사한 목표와 행동을 가진 암호화폐 플레이어를 보다 엔터테인먼트 지향적인 플레이어가 되도록 안내할 수 있습니다(아래 두 표 참조).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플레이어가 함께 게임을 즐기고, 생태계에 기여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DAW 경제 모델 요약

정리하자면, 외부 자원의 도입이든, 내부 가치 유출의 감소이든, 그 뒤에 있는 원리는 실제로는 플레이 가능성으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단순히 금융 투기꾼이 아닌 실제 게이머를 끌어들일 수 있을 만큼 게임 자체가 매력적이어야 토큰 경제가 건강한 순환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DAW는 초기 GameFi에 비해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율성 등의 측면에서 기존 Web2 게임을 능가하는 등 이러한 측면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DAW가 뛰어난 플레이 가능성으로 더 많은 실제 게이머를 유치하여 토큰 경제적 지속 불가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을 충분한 이유가 있습니다.

6. 요약

이 기사의 설명을 통해 우리는 DAW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생태학적 프로젝트가 부족하고 기술적 과제가 많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미 많은 해당 솔루션이 진행 중이며 DAW 역시 다른 게임에 비해 핵심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결함이 개선된 후에는 DAW의 탈중앙화 장점, 강력한 자율성, 구성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인센티브는 더 많은 플레이어를 끌어들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DAW 자체가 탄탄한 서사인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레디 플레이어 원과 같은 탈중앙화된 자율세계 게임이 등장할 수 있을지 상상이 가시나요? DAW에서는 게임 자체가 자체 통화, 시장 및 경제 규칙을 갖춘 경제 시스템 역할을 하여 기존 경제와 공존하는 새로운 경제 조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완전 자율적인 세계 자체가 극도로 개방적이고 독립적인 경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Ready Player One과 같은 게임을 DAW에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한마디로 DAW 자체가 매혹적인 서사를 담고 있고, 전통적인 게임의 경계를 뛰어넘는 많은 재미와 플레이를 담고 있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생태계 개선으로 인해 DAW와 그 상위 세트인 풀체인 게임이 많은 관심을 끄는 미래 블록체인 분야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마도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생태계의 발전으로 DAW는 다음 Web3 강세장에서 중요한 플레이어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참조 링크:

[ 1 ]https://twitter.com/0x Ning 0x/status/1692845209150005589 

[ 2 ]https://twitter.com/Dacongfred/status/1693249435751338394

[ 3 ]Making of OPCraft (Part 3): What happened in two weeks of OPCraft

[4] 풀체인 게임 트랙 Wanzi 연구 보고서: Web3 네이티브 게임에서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확산이 발생합니까? 개발 이력, 게임 엔진, 생태계 현황, 향후 과제 등을 파노라마식으로 해체

[ 5 ]https://twitter.com/0x AikoDai/status/1490880076207968261 

[6] 자율 세계: 풀체인 게임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유토피아의 아름다운 아이디어

[7] 풀체인 게임 엔진 MUD에 대한 심층 분석

[ 8 ]The future of on-chain gaming: 'The promise of MUD ECS engine'

[9] 풀체인 게임 ③: 엔진과 생태의 머드도장

이 기사는 연구 및 교환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투자 참고 자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EVG
作者文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