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7개 시·도를 비규제 자유특구 3차로 지정했고, 부산시는 감독 없이 자유로운 환경에서 블록체인 금융·의료 서비스 시험을 진행할 수 있었다. 부산시는 기존 블록체인 특구에 이어 이번에 해양모빌리티 특구로 지정됐다. 정부가 지정한 3차 비규제자유지역은 부산시, 강원도(액화수소산업), 경북(공업용삼), 대구(이동협동로봇), 울산(유전자서비스산업), 전북(탄소통합산업) 등이다. , 충남(수소에너지전환) 등 7개 권역에 따라 정부가 예산 420억원을 투입해 비규제자유특구 투자펀드를 조성한다.
#부산, 블록체인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만든다
6일 정부감독자유구역위원회에 따르면 부산시는 블록체인 기초산업 분야 금융·의료 현장서비스 시범사업에 집중해 거래비용이 낮고 안전성과 효율성이 높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금융(부동산) 서비스 분야에서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한 보안시스템 개발에 주력한다. 현재 관련 보호장치로는 소득증권 발행 한도 설정(5000억원 한도), 부산은행 계좌개설 이용자 한정(자격제한), 부산지역 상품(부동산) 한도 등이 있다. 2,000만원까지 투자가 가능하며, 적격투자자는 4,000만원(투자한도) 및 기타 제한조건이 있습니다. 또한 부산시는 특구 내 부동산 투자를 위한 공모펀드도 조성해 거래플랫폼이 신원·안전·신뢰할 수 있는 블록체인 디지털 증명서를 활용해 중개·판매·유통(투자자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일반 투자자에게 . 즉, 부산시는 경제특구의 우대정책에 따라 부동산 소득증권의 중개·매매·유통업을 실무자에게 허용하고, 자료수행 시 개인정보 파기를 강제할 필요가 없다. 부동산 산업에 해당하는 거래 "STO (Issuance of Security Tokens)"와 유사한 실험.
JOIND 박상걸 기자 park.sanghyuk@joongang.co.kr
JOIND 박상걸 기자 park.sanghyuk@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