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금융특수법과 시장분석: 마침내 제도권에 끼어들다
Join:D
2020-03-11 02:43
本文约3592字,阅读全文需要约14分钟
한국 국회가 처음으로 암호화폐 관련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금융특별법"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보조 제목

트럼프 법을 개정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특별자금법' 개정 배경은 우선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발표한 암호화폐 규제지침이었다. FATF는 자금세탁을 방지하고 각종 범죄조직의 자본사슬을 차단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다. 이 조직은 1989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출범했다. 당시 국제사회의 화두는 마약 밀매 조직의 자본 사슬을 차단하는 것이었다. 2001년에는 테러 조직의 금융 사슬을 끊는 것이 조직 업무의 초점이 되었고, 2012년에는 대량 살상 무기와 관련된 금융 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업무의 초점이 옮겨졌습니다. 관련 국제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규제지침을 개정하는 등 지속적으로 관할권을 확대하고 있다.

FATF는 2015년부터 암호화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당시 암호화폐가 돈세탁의 새로운 수단이 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암호화폐와 관련된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FATF는 관련 규제 조치가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2018년 조치를 취했습니다.

2018년 10월 FATF는 암호화폐를 "가상자산(Virtual asset)"으로 정의하는 "제15호 규제정책"을 개정 및 공식화하고 암호화폐 자금세탁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구축에 착수했다. 2019년 6월 FATF는 "규제지침 제15호"에 대한 설명문을 발표하고 가상자산(VA) 및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이하 VASP)에 대한 규제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당시 FATF 30대 순환이사장을 지낸 매튜 빌링슬리 미국 재무부 대표는 “통일된 규제지침이 없으면 국제금융시스템에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며 규제지침 마련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보조 제목

FATF 규제 지침은 의무 사항입니까?

FATF의 규제 지침은 실제로 법적 구속력이 없습니다. 그러나 규제 지침을 위반한 국가 및 금융 기관은 FATF의 블랙리스트에 올라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와 금융 거래를 할 수 없게 됩니다. 일례로 2014년 프랑스 최대 은행인 BNP파리바는 미국의 경제제재를 무시하고 이란과 대규모 금융거래를 했다는 이유로 같은 해 6월 미국 정부에 89억7000만달러(약 10억6000만달러)를 지불해야 했다. , 수단, 쿠바 및 기타 국가. 조 원) 벌금. 이 사건으로 인해 은행은 이번 분기 사상 최대 순손실(약 6조원)을 기록했고, 이 회장은 어쩔 수 없이 사임했다. 한국 정부와 금융기관이 국제금융거래를 정상적으로 하려면 FATF의 규제지침을 따라야 한다. 즉,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FATF의 규제 지침을 준수하지 않으면 글로벌 금융 산업에서 고립될 수 있습니다.

FATF 규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VASP의 범위는 암호화폐를 대행해 보관하는 수탁회사, 암호화폐 지갑을 운영하는 기업,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ICO 프로젝트 기업, 암호화폐 자산을 이용하는 기업 등 다양한 암호화폐 관련 기업을 포괄한다. - 자금 세탁, 거래 담당자 신원 정보(KYC) 제출 및 기타 의무.

거래자의 신원 정보 제공 의무는 "여행 규칙"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VASP가 거래 금액이 US$1,000(약 1.2 백만원) 계좌번호, 수취인 이름, 수취인 로그인 계정 및 기타 정보.

보조 제목

왜 한국은 관련법을 이제서야 통과시켰는가?

FATF의 상호 평가를 충족하기 위해 많은 국가에서 관련 법률을 매우 일찍 제정했습니다. 미국 재무부 산하 금융 범죄 단속 네트워크(FinCEN)는 작년에 암호화폐 산업에 적용되는 규정을 규정하는 지침을 마련했습니다. FATF가 규제 가이드라인을 공포하기 전과 후에 각국은 암호화폐 관련 기업에 대한 보고 시스템과 컴플라이언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마련했습니다. 지금까지 미국의 FInCEN, 뉴욕주 금융감독원(NYDFS), 일본 금융청, 캐나다 증권관리협회, 영국 금융감독청, 스위스 연방금융감독청(FINMA) 등의 금융기관이 VASP에 대한 라이선스 시스템 또는 등록을 구현했습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FATF가 규제 지침을 발표하기 전에 정부 당국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한국은 2016년 말 금융위원회 주관으로 '가상화폐 관련 기관 합동실무단'을 구성했지만 실무단이 실제로 운영되지 않아 암호화폐의 성격(이하 FATF의 가상 자산). 암호화폐는 화폐도 금융 상품도 아니기 때문에 완전히 새로운 "존재"에 속합니다.

문제는 워킹그룹이 "소극적이고 소극적"이던 시기에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가격이 폭등해 이낙연 당시 대한민국 국무총리가 2017년 11월 이 문제를 직접 언급했다는 점이다. 암호화폐를 넣고 시장 과열의 문제를 "사회적 병리"라고 합니다. 시장의 과열이 점차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자 법무부서가 워킹그룹을 이끌기 시작했다. 당시 정부의 태도는 암호화폐를 제도적 틀에 편입시키기보다는 요람에서 없애는 것이 낫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미 탄생한 시장이자 글로벌 규모의 시장인 만큼 특정 국가의 규제만으로는 사라지게 할 수 없다. 당시 정부 일각에서는 거래소 폐쇄를 제안하기도 했지만 사유재산권 침해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2018년에는 암호화폐 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자연스럽게 시장의 열기가 식었습니다. 과열 현상이 가라앉으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정부의 관심도 줄어들었다. 배치하고 할 수 없는 것. 정부의 무시와 고의적 차별까지, 암호화폐 산업에서 정상적 영업을 하려는 기업들은 고군분투하고 있는 반면, 법적 허점을 노리고 속이려는 기업들은 잘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산업에 소외되지 않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나서는 조치

2018년 12월 G20 정상회의에서 FATF 규제지침이 합의된 이후 정부는 사안의 시급성을 인식하고 FATF 관련 금융위원회가 시급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FATF 규제 지침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 한국은 특별기금법에 가상자산 조항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특검법 개정안을 조속히 입법화하기로 합의한 의원들(더불어민주당 조룬경·전제수·김병욱 의원, 김수민 의원) 정의미래당)이 개헌안을 내놓은 데에는 대략적인 윤곽이 비슷하다.

하지만 특왕법 개정안의 입법 과정은 생각만큼 순조롭지 않았다. 법안 발의부터 최종 입법화까지 소관 위원회('특별금법'의 소관 위원회는 정무위원회)의 의안심의소위원회에서 심의를 거친 후( 정무위원회) 본회의를 거쳐 법제사법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회 본회의 표결을 최종 통과시켰다. 지난 1년 동안 이 법안의 중요성은 매번 위원회 논의에서 제외된 다른 핫 버튼 법안에 의해 가려졌습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정무위 의안심사소위에서 심의를 시작했고, 11월 25일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4건의 관련 수정안이 통과됐다.

보조 제목

트럼프 법의 수정 사항은 무엇입니까?

이번에 가결된 '특수화폐법' 개정안은 가상자산 및 가상자산사업자(VASP)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암호화폐 사업자 및 운영업체의 보고 의무를 규정하고,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를 완성했다. 인증, 실명을 사용하여 입출금 계좌 확인, 이용자 본인 확인(KYC) 등의 의무 개정안은 공포 후 1년이 지난 2021년 3월부터 시행된다.

우선 암호화폐, 가상화폐, 가상화폐 등 암호화폐를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를 "가상자산"으로 통일하고, 가상자산의 거래를 전통적인 "금융 및 기타 거래"의 범위에 포함하도록 하겠습니다. . "특별금법"도 암호화폐 운영자의 법적 지위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FATF 규제 가이드라인에서 제안하는 "VASP" 개념에 따라 가상자산의 판매, 교환, 보관, 관리 등 모든 활동이 ""에 포함됩니다. 가상자산 거래" 카테고리. 범위. 암호화폐 거래소를 포함해 암호화폐 지갑을 운영하고 관련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도 이 법안을 준수해야 한다는 뜻이다.

개정안에서 규정한 '신고제도'는 관계기업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에 회사명과 소재지를 신고하도록 했다. 기존 사업자는 개정안 시행(2021년 3월) 후 6개월 이내, 즉 2021년 9월 이전에 신고 의무를 완료해야 한다. 신고의무를 위반하면 5년 이하 징역, 5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진다.

JOIND 원재연 기자 won.jaeyeon@joongang.co.kr

JOIND 원재연 기자 won.jaeyeon@joongang.co.kr

Join:D
作者文库